PUKYONG

Bioaccumulation and physiological response by hexavalent chromium exposure in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6가 크롬 노출에 의한 강도다리의 생물축적 및 생리학적 반응
Abstract
크롬 노출에 따른 생물축적 및 생리학적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강도다리 (평균 전장 19.2±0.9 cm, 평균 무게 112.5±15.7 g)을 먹이를 통해 크롬 0, 50, 100, 200 그리고 400 ppb의 농도로 4주간 노출시켰다. 크롬 노출에 따른 생체 조직의 축적 중 간에서 가장 높은 크롬 축적이 관찰되었다. 성장률과 간 중량지수는 200 ppb 이상의 노출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헤모글로빈 농도, 적혈구 용적 그리고 총 적혈구 수 등의 혈액학적 지표는 크롬 노출 200 ppb 이상에서 유의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혈장 무기성분인 칼슘과 마그네슘은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다. 혈장 유기성분인 글루코즈와 콜레스테롤은 증가하였고, 총 단백은 유의적 변화를 나타냈지 않았다. 혈장 효소성분인 GOT와 GPT는 높은 농도의 크롬노출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다. 혈장 코르티졸 농도는 높은 농도의 크롬노출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다. 크롬 노출에 따른 항산화반응에서, 강도다리 간과 아가미 조직에서의 SOD, CAT는 유의적 증가가 나타났으며, GSH, GST 수치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크롬 노출에 따른 면역반응을 관찰하기 위한 실험에서, 혈장 Ig M은 200 ppb 이상의 크롬 노출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라이소자임 활성 또한 200 ppb 이상의 크롬 노출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크롬 노출은 실험어인 강도다리에서의 특정조직에서 생물축적을 유발하였고, 혈액학적 요소의 변화, 산화스트레스로 인한 항산화효소 변화 및 면역학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Author(s)
고혜동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2
Type
Dissertation
Keyword
Heavy metal Bioaccumulation Starry flounder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074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83298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수산생명의학과
Advisor
강주찬
Table Of Contents
List of tables ⅲ
List of figures ⅳ
Abstract ⅵ

Ⅰ. Introduction 1

Ⅱ. Materials and Methods 8
1. Experimental fish and culture conditions 10
2. Bioaccumulation 11
3. Growth performance 12
4. Hematological assay 13
5. Antioxidant system analysis 15
6. Immune responses 18
7. Statistical analysis 20

Ⅲ. Results 21
1. Bioaccumulation 21
2. Growth performance 24
3. Hematological parameters 26
4. Antioxidant system 30
5. Immune responses 33

Ⅳ. Discussion 36
1. Bioaccumulation 36
2. Growth performance 39
3. Hematological parameters 40
4. Antioxidant system 44
5. Immune responses 48


Summary 50

References 5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수산생명의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