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CI 자료를 이용한 동북아시아 토지피복지도 제작 가능성
- Alternative Title
- Feasibility of Land Cover Mapping Using GOCI Data Over Northeast Asia
- Abstract
- 본 연구는 정지궤도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동북아시아 토지피복 실정에 적합한 토지피복지도를 제작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GOCI 자료를 이용해 산출된 각 밴드별 FVBAR 자료가 동북아시아 토지피복지도 제작을 위한 입력 자료로 사용되었다. 이것은 구름과 눈에 의한 오분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7일 합성되었으며, 세 가지 유형으로 구성되었다 (Band 3, 4, 5, 8; NDVI; Band 3, 4, NDVI). 시가지와 수역의 마스킹 유무에 따른 정확도 평가를 위해 각 입력 자료들을 마스킹 유무에 따라 두 가지 경우로 나누었다. 또한 이상의 자료에서 해양 및 null data 를 마스킹하여 주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상의 주성분을 입력 자료로 K-means clustering을 통해 총 40개의 항목으로 군집화 하였고, 본 연구에서 명명된 7개의 토지피복 항목 (시가지, 농지, 산림, 초지, 습지, 나지, 수역)을 이용하여 각 유형별 동북아시아 토지피복지도를 제작하였다. 최종 산출물의 정확도 검증을 위해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중분류 토지피복지도를 참조 자료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입력 자료가 NDVI이며 시가지와 수역을 마스킹 하였을 때 가장 높은 정확도인 79.04%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global land cover dataset 과의 정확도 비교 결과, 최근 개발된 MODIS MCD12Q1과는 70.24%, GlobeLand30과는 72.80%로 높은 전체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 비춰볼 때, 정지궤도 위성자료를 활용한 동북아시아 토지피복지도 산출을 위한 최초의 시도는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Author(s)
- 손상훈
- Issued Date
- 2019
- Awarded Date
- 2019.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126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85878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Advisor
- 김진수
-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1
1.1. Background 1
1.2. Previous study 1
1.3. Objective 4
2. Methodology 5
2.1. Global land cover products 5
2.2. Study area and data preparation 9
2.2.1. GOCI dataset 10
2.2.2. Reference dataset 16
2.3. Land cover mapping 17
2.3.1.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19
2.3.2. K-means clustering 21
2.3.3. Definitions of land cover classes 23
3. Results and Discussion 25
3.1. K-means clustering 25
3.2. Land cover mapping 28
3.3. Accuracy assessment 32
3.4. Comparison of global land cover products 39
4. Conclusions 43
Reference 45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