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BACE1 active compounds from the flowers of Cirsium maackii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알츠하이머 질환은 만성 진행성 퇴행성 질환이며 주요 건강 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여러 연구들이 식물의 꽃 부위가 신경 퇴행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이전의 연구에서 Cirsium의 꽃 추출물이 전인지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근거들에 의거하여, 우리는 엉겅퀴 꽃의 항알츠하이머 질환 효과를 측정하고 꽃의 항알츠하이머 질환 효과가 어떤 성분에 의한 것인지 찾기 위해서 구성 성분들에 대한 정성 및 정량 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BACE1 억제 활성 측정 결과, 꽃의 메탄올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효소를 억제하였으며 76.47 ± 1.66 µg/ml의 반수저해농도 (IC50)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메탄올 추출물의 극성에 따른 용매별 분획물들에 대한 BACE1 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그리고 부탄올 분획물 순으로 높은 억제 활성을 보였으며 각각 22.98 ± 1.45, 8.65 ± 0.63 그리고 72.47 ± 3.04 µg/ml 의 IC50를 보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4.51 ± 3.63 µg/ml의 IC50를 가지는 퀘르세틴을 사용하였다. 오픈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서 디클로로메탄 분획물로부터 β-amyrenone, lupeol acetate, lupeol, β-sitosterol 그리고 β-sitosterol glucoside를 분리하였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부터 apigenin, luteolin, apigenin 7-O-β-D-glucuronide methyl ester, tracheloside 그리고 luteolin 5-O-β-D-glucoside를 분리하였다. 또한, apigenin 5-O-β-D-glucoside 그리고 apigenin 7-O-β-D-glucuronide를 부탄올 분획물로부터 분리하였고 luteolin 7-O-β-D-glucuronide를 물 분획물로부터 분리하였다. 특히,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의 lupeol과 lupeol acetate은 다른 성분들과 비교해서 상당히 많이 분리되었다. 게다가,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를 이용하여 350nm의 파장에서의 꽃 성분의 정량 및 정성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apigenin, luteolin 그리고 apigenin 7-O-β-D-glucuronide가 메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그리고 부탄올 분획물의 주요 성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apigenin과 luteolin이 각각 162.27 mg/g 그리고 97.17 mg/g으로 상당히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부탄올 분획물에는 apigenin 7-O-β-D-glucuronide가 106.38 mg/g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HPLC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전의 연구에서 lupeol과 luteolin이 BACE1 저해제로써 보고된 바 있으므로, 엉겅퀴 꽃의 항알츠하이머 질환 효과는 이러한 주요 화합물들의 존재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에서 엉겅퀴 꽃의 알츠하이머 질환에 대한 역할이 주요 triterpenoid와 flavonoid에 의한 것을 확인하였다.
Author(s)
BHATTARAI GRISHMA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141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80984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식품생명과학과
Advisor
최재수
Table Of Contents
I. Introduction 1
II. Materials and Methods 6
1. Plant materials 6
2. General experimental procedures 6
3. Chemicals and reagents 7
4. Experimental methods 7
4-1. Extraction, fractionation, and isolation 7
4-2. HPLC Quantitative analysis 12
4-3. Assay for BACE1 inhibition 12
4-4. Statistics 13
III. Results 14
1. Isolation 14
1-1. Isolation of compounds 14
2. Quantiative HPLC analysis in different fraction of C. maackii flowers 19
3. Anti-Alzheimer’s disease activity 24
3-1. BACE1 inhibitory activities of different fractions extracts of C. maackii flowers 24
IV. Discussion 27
V. Conclusions 32
VI. References 33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식품생명과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