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공사현장 임시소방시설에 대한 근로자의 인지도 및 시설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There are various fire causes at a construction site. They have caused major fires every year at the site. Regulations for the installation of temporary fire-fighting facilities at the sites were implemented from January 8, 2015 in order to reduce fire at construction sites. Nevertheless, a construction site fire is still taking place, resulting in lots of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s every year. The construction site cannot work a normal role because it is not completed. Therefore, more damage is likely in the event of fire. Also, the current temporary fire-fighting facilities do not serve as temporary fire prevention facilities since their cognitive abilities are not taken into worker. To reduce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the current provision for installing temporary fire-fighting facilitie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problems and effectiveness of temporary fire-fighting facilities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site. The plan is to draw improvement plans for the project site managers, safety managers, fire supervisors, and suppliers who are well aware of alternatives to fire at construction sites. Although all solutions cannot be presented in this paper regarding the problems of temporary fire prevention facilities, it is deemed that those will be the basis data for the installation of effective fire-fighting facilities at the construction site.
Author(s)
신기윤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215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86100
Affiliation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Department
산업대학원 소방공학과
Advisor
최준호
Table Of Contents
목 차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제 2 장. 공사장 화재의 위험성 및 관련 기준 분석 4
2.1. 공사장 화재의 발생원인 및 특성 4
2.1.1. 국내·외 화재사고사례 4
2.1.2. 공사현장 화재의 특성 8
2.2. 공사현장 임시소방시설의 개요 13
2.2.1. 임시소방시설의 종류 13
2.2.2. 국외 공사현장 임시소방시설 설치기준 16
2.3. 선행연구 고찰 19

제 3 장. 공사현장 임시소방시설의 실효성 실태조사 22
3.1. 공사현장의 특성 22
3.1.1. 공사현장 현장근로자의 임시소방시설에 대한 사전지식 22
3.1.2. 공사현장의 작업 소음 분석 28
3.2. 실태조사의 방법 29
3.3. 실태조사의 결과 31
3.3.1. 현장근로자의 소화기 무단 이동 31
3.3.2. 현장근로자의 간이소화장치 무단 사용 및 방치 35
3.3.3. 비상경보장치의 경보음 인지불능 37
3.3.4. 건축구조에 따른 유도등의 인지 사각지대 발생 41

제 4 장. 전문가 설문을 통한 임시소방시설 문제점 개선방안 도출 43
4.1. 설문조사 개요 43
4.1.1. 설문대상자의 특성 43
4.2. 임시소방시설 문제 개선방안 도출 48
4.2.1. 소화기 무단이동 방지를 위한 개선방안 48
4.2.2. 간이소화장치 무단사용 방지를 위한 개선방안 75
4.2.3. 비상경보장치의 인지효율 개선방안 102
4.2.4. 유도등 인지효율 개선방안 132

제 5 장. 결 론 144

참 고 문 헌 147

ABSTRACT 14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소방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