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기술장벽 협정(TBT협정)에 관한 사례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Toys Cases under the Trade Technology Barriers Agreement (TBT Agreement):Focused on China-Main Developed Countries' Toys Recall Cases
- Abstract
- With the development of economic globalization and trade liberalization, trade protection measures adopted by many countries have undergone great changes. Traditional trade protection measures have a greater impact on international trade.
It is said that China is a world factory or a manufacturing powerhouse. “Made in China” is one of the most popular labels in the world. According to the global economic development, the consumer demand in the toy market is gradually recovering. North America and Europe are the world's largest toy industry and the largest toy importer.
This paper analyzes the papers, publications, ruins and literature related to trade barrier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analyzes the cases recalled by developed countries, and analyzes the causes and countermeasures of trade technical barriers facing China. This study analyzes the recall of Chinese toys, analyzes the problems of Chinese toy exports, and attempts to find countermeasures for Chinese exports. Through analysis and research, the suggestions and countermeasures for toy exports have not only been explored theoretically, but also combined with the recall of actual trade barriers in China. Played a positive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toy export industry.
- Author(s)
- LI YUANLU
- Issued Date
- 2019
- Awarded Date
- 2019.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TBT협정 완구 사례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260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86169
- Alternative Author(s)
- 리위안루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국제통상물류학과
- Advisor
- 김은채
- Table Of Contents
- 제Ⅰ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방법 및 구성 3
1. 연구방법 3
2. 연구구성 4
제Ⅱ장 완구와 무역기술장벽의 이론적 배경 및 현황 5
제1절 완구의 개념과 분류 5
제2절 무역기술장벽의 개념과 유형 7
제3절 완구의 무역기술장벽에 관한 기존연구 10
제4절 중국 완구 수출의 현황 14
제5절 중국 완구 수출의 무역기술장벽에 당한 이유 16
제Ⅲ장 주요 선진국의 완구 무역기술장벽 기준 20
제1절 미국의 완구 무역기술장벽 기준 20
1. ASTM F963-미국 완구 안전기준 20
2. CPSC (CPSC, 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 21
제2절 EU의 완구 무역기술장벽 기준 24
1. EN71 완구 안전기준 24
2. REACH 규정 27
제3절 일본의 완구 무역기술장벽 기준 28
제4절 중국의 완구 무역기술장벽 기준 30
1. CCC인증의 개념 30
2. CCC인증의 주요내용 33
3. CCC 공장 검사 기본 요구 사항 35
4. CCC인증에서 제외되는 제품 38
5. CCC인증의 면제 제품 39
6. CCC인증 에이전트 프로세스 41
7. CCC인증 신청 철차 42
제5절 미국, EU, 일본 및 중국의 완구 무역기술장벽 비교 44
제Ⅳ장 중국 대 주요 선진국의 완구 무역기술장벽 사례분석 및 대응방안 45
제1절 중국 대 미국의 완구 무역기술장벽 사례분석 45
제2절 중국 대 EU의 완구 무역기술장벽 사례분석 47
제3절 중국 대 일본의 완구 무역기술장벽 사례분석 49
제4절 중국정부의 대응방안 - 50
제5절 중국기업의 대응방안 51
제Ⅴ장 결론 53
참고문헌 56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국제통상물류학과-FTA비즈니스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