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미디엄 필드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등방성 투명 전도성 필름 제작에 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Fabrication of Isotropic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Using the Medium-Field Electrospinning
Abstract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TCF) based on indium-tin-oxide (ITO) have been widely used in various electronic applications such as displays and solar cells because of their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and optical transparency. However, their low flexibility and high material cost have driven industries to seek for alternatives such as TCFs with metal meshes. Despite the high conductivity and durability of metal mesh-based TCFs, they are likely to have the unfavorable moiré effect, appearing when the periodic pattern of a metal mesh is superimposed on a color filter that has another periodic pattern of colorant pixels. In this study, we introduce an efficient fabrication method for TCFs with silver microfibers using medium field electrospinning. The random serpentine motion of the medium field electrospinning renders silver microfibers contact with adjacent silver microfibers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hence eliminates the necessity of double-pass printing, resulting in the increase of manufacturing productivity. Moreover, the random network formation of silver microfibers liberates TCFs from the adverse moiré effect.
Author(s)
박은혜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262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78742
Alternative Author(s)
Eun Hye Park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인쇄공학과
Advisor
신동윤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II. 이론 3
1. 투명 전극 소재 3
1.1 Indium-tin-oxide (ITO) 3
1.2 실버 나노와이어 (silver nanowire) 4
1.3 탄소 나노튜브 (carbon nanotube) 5
1.4 메탈 메쉬 (metal mesh) 6
2. 투명 전극 응용 분야 7
2.1 터치 스크린 패널 7
2.2 태양전지 8
2.3 전자파 차폐 필름 9
3. 전기방사 (electrospinning) 10
3.1 전기방사의 개념 10
3.2 전기방사 장비 13
3.3 전기방사된 파이버의 특성 14
3.4 미디엄 필드 전기방사의 특징 15

III. 실험 18
1. 실버 페이스트 제조 18
1.1 실버 페이스트 18
1.2 Polyethylene oxide(PEO) 20
1.3 PEO 용액의 제조 및 실버 페이스트와 혼합 21
2. 전도성 고분자 용액 제조 22
3. 투명 전도성 필름 제작 과정 23
4. 투명 전도성 필름의 광학적 특성 측정 25
5.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전기적 특성 측정 25

Ⅳ. 결과 및 고찰 27
1. 전기방사 시 발생한 문제점 36
1.1 비딩 (beading) 현상 36
1.2 블롯팅 (blotting) 현상 37
1.3 럼핑 (lumping) 현상 39
2. 투명 전도성 필름의 광학적 특성 평가 27
2.1 실버 마이크로파이버의 사행 특성 27
2.2 투명 전도성 필름의 투과도 30
2.3 모아레 현상 제거 32
3.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전기적 특성 평가 33
3.1 투명 전도성 필름의 면저항 33
3.2 투명 전도성 필름의 등방성 34
4. 투명 전도성 필름의 양산화 42
4.1 멀티 노즐 42
4.2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 43
4.3 10 ㎝ × 10 ㎝ 투명 전도성 필름 제작 44

Ⅴ. 결론 45

참고문헌 4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인쇄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