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양식석탑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Baekje Style Stone Stupas
- Abstract
- 현재 학계에서 백제양식석탑은 백제가 멸망하고 고려가 되어 백제석탑인 미륵사지와 정림사지 석탑을 모방하여 백제부흥의식의 일환에 따라 百濟故土를 중심으로 건립된 一群의 석탑을 말한다. 이에 대해 필자는 ‘과연 백제양식석탑이 백제 멸망과 함께 건립이 단절되었다가 약 250년의 공백을 거치고 건립된, 즉 고려시대만의 전유물인가’라는 의문에 대한 답을 풀어가고자 한다.
따라서 백제양식석탑은 8세기 후반에서 9세기 초반 무렵 석탑 건립의 지방화 현상과 함께 백제고토를 중심으로 건립되기 시작하였으며, 나아가 고려석탑의 개성적인 一群으로 자리 잡았음을 밝히고자 한다. 결국 기존의 연구가 지나치게 복고적인 문화현상에 치우친 것에 반해 오히려 한국 석탑의 표본으로 인식되고 있는 신라석탑의 정형성을 탈피하고, 한국 석탑사에서 전성기를 이룬 고려석탑의 양식적인 다양성의 근간이 되었다는 측면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백제양식석탑의 양식의 체계적 정리와 그 연결 계보의 복원을 시도하고, 당시 불교석조물과의 기술교류에 따른 변화 및 발전과정, 그리고 백제양식석탑이 한국 석탑사에서 갖는 역사적 의의에 대해 보다 다각적으로 접근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 석탑에 있어 銘文이 확인되는 석탑을 통해 불탑 건립의 목적과 기록에 등장하는 백제의 뛰어난 불탑 관련 建築術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백제석탑과 백제양식석탑에 대한 정의와 현재의 분포 범위에 대해 살펴보고,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필자 나름의 양식적 분류를 시도했다.
Ⅳ장에서는 백제양식석탑의 건립이 백제 멸망 후 250년간 단절된 것이 아니라 9세기 석탑 건립의 지방화 현상과 함께 건립되었고, 그 흐름이 고려시대까지 지속된 과정을 시기적, 지역적으로 살펴보았다. Ⅴ장에서는 백제양식석탑에 있어 再考의 필요성이 있는 왕궁리 오층석탑의 편년과 사리봉안 방식, 그리고 석탑의 배치와 양식 분류 방식을 되짚어 보았다. 마지막으로 Ⅵ장에서는 백제고토에서 지역민의 佛事활동을 비롯하여 백제양식석탑의 건립배경과 일본 내에서 백제유민에 의해 건립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石塔寺(いしどうじ) 三重石塔과의 비교를 통해 연구의 시각을 넓히고자 했다.
- Author(s)
- 전지혜
- Issued Date
- 2019
- Awarded Date
- 2019.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백제양식석탑 백제계석탑 백제석탑 미륵사지 서석탑 정림사지 오층석탑 석탑사 삼층석탑 일본석탑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271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83488
- Alternative Author(s)
- Jun Ji Hye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사학과
- Advisor
- 이근우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목적 및 문제제기 1
2. 선행연구 고찰 5
1) 고려석탑의 양식 분류 5
2) 백제양식석탑의 연구현황 9
3. 연구범위와 방법 16
Ⅱ. 불탑 건립의 목적과 建築術 18
1. 造塔銘文을 통해 본 불탑 건립의 목적 19
1) 삼국ㆍ통일신라시대 명문자료 19
2) 고려시대 명문자료 26
2. 문헌에서 확인되는 불탑 建築術의 전파와 교류 29
1) 삼국의 교류 29
2) 일본과의 교류 32
Ⅲ. 백제양식석탑의 성립과 전개 38
1. 백제석탑의 건립과 양상 38
1) 미륵사지 서석탑 39
(1) 조사 현황과 문헌상의 기록 39
(2) 세부양식 46
2) 정림사지 오층석탑 55
(1) 조사 현황과 문헌상의 기록 55
(2) 세부양식 61
2. 백제양식석탑의 정의와 분포 범위 71
1) 석탑의 정의 71
(1) 기단부 74
(2) 탑신부 78
(3) 결구법 80
(4) 건립배경 82
2) 석탑의 분포 범위 84
Ⅳ. 양식의 전개와 발전 88
1. 백제양식석탑의 전개과정 90
1) 시기적 구분 90
2) 지역적 구분 94
2. 순수형 석탑의 변천 99
1) 각 석탑의 양식 고찰 100
(1)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100
(2)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110
(3) 공주 청량사지 오층석탑 113
(4)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 117
(5) 김제 귀신사 삼층석탑 122
2) 수용양식과 변형양식 124
3. 발전형 석탑의 변천 133
1) 地域型 134
2) 불교석조물과의 공유 141
(1) 石塔型 142
(2) 僧塔型 155
(3) 石柱型 164
Ⅴ. 백제양식석탑의 問題 170
1. 편년과 사리장엄 봉안 방식 171
1) 왕궁리 오층석탑의 편년 再考 171
2) 사리장엄 봉안 방식 178
2. 배치 방법 및 양식 再考 184
1) 석탑의 배치 184
2) 양식 분류의 再考 190
Ⅵ. 건립배경과 역사적 의의 197
1. 건립배경 199
1) 백제유민의 佛事활동과 멸망의 상흔 199
2) 백제고토에서 승려 眞表의 활동 207
3) 후백제의 건국과 백제문화로의 회귀 211
2. 백제양식석탑의 특징 215
1) 분포환경에 따른 지역성 216
2) 특수형석탑의 분포환경 비교 222
3. 백제양식석탑과 일본 석탑에 대한 고찰 227
1) 한국 석탑과 일본 層塔 양식 비교 228
2) 石塔寺 三重石塔에 대한 양식과 건립연대 235
4. 한국 塔婆史에서 백제양식석탑의 의의 243
Ⅶ. 결론 248
참고문헌 252
Abstract 273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사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