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홍 창작동화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Creative Children’s Stories Literature of Lee Ju Hong
- Abstract
- 본 논문은 이주홍의 창작동화에서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는 재치, 재미, 지혜, 해학, 익살, 풍자 등이 전통적 서사구조인 설화의 서사 법칙을 바탕에 두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했다.
이주홍은 일제 강점기 시대와 산업화시기의 암울한 현실과 피폐해진 사회상을 창작동화에 담아내면서 풍자와 해학, 익살로서 어린이들에게 재미를 주었다. 이처럼 이주홍의 창작동화에 나타나는 특징들은 설화의 서사 법칙과 기능을 계승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찾기 위해 설화의 표현형식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올릭의 서사법칙 중 반복의 법칙, 대조의 법칙, 단선화의 법칙, 위의 세 가지 법칙을 중심으로 살펴봤다.
첫 번째, 반복의 법칙은 「군밤」 (『신소년』1934), 「알 낳는 할머니」 (『동아일보』1937), 「아들 삼형제」 (『동아일보』1939) 세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봤다. 위의 세 작품에서는 반복을 통해 나타나고 있는 재치, 재미, 지혜에 대해 알아봤다. 「군밤」에 나오는 종수와 주인집 아들, 신분이 다른 두 인물의 갈등상황을 반복되는 문장을 통해 재치와 재미를 주고 있으며, 「알 낳는 할머니」 는 달걀을 소재로 방개할머니와 영호의 일상 속에서 생긴 불신을 반복되는 행위와 대화를 통해 관계가 회복되는 과정을 지혜롭게 풀어주고 있으며, 「아들 삼형제」 는 아버지의 가짜 죽음을 통해 드러나는 세 아들의 마음을 해학적으로 풀어내면서 세 아들을 시험하는 아버지의 재치 있는 행동을 지혜로움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대조의 법칙은 「배암새끼의 舞蹈」 (『신소년』1923), 「고동이」 (『조선일보』1933), 「호랑이이약이」 (『신소년』1934) 세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봤다. 위의 세 작품은 의인화 작품으로 강자와 약자라는 대립적인 상황에서 사건을 통해 권선징악이라는 선명한 주제를 드러냈으며, 선과 악, 강자와 약자, 현명함과 어리석음이 서로 대립되는 상황에서 인과응보라는 교훈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단선화 법칙은 「개고리와 두꺼비」 (『신소년』1930), 「청개구리」 (『새벗』1969), 「가자미와 복장이」 (『삼성당』1980) 세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봤다. 위의 세 작품은 시대는 다르지만 암울한 현실과 피폐해진 사회를 배경을 바탕에 깔고 있다. 「개고리와 두꺼비」는 힘센 개구리의 지배와 그 지배를 받는 약한 개구리들의 내분을 통해 일제 강점기시대 상황을 해학적으로 풍자하고 있으며, 「청개구리」에서는 엄마 청개구리의 죽음과 아들 청개구리를 통해 산업사회에서 개발을 목적으로 힘없는 인간의 죽음을 하찮게 여기는 모습과 병든 사회를 풍자하고 있다. 「가자미와 복장이」에서는 두 친구의 욕심을 익살과 해학으로 풀어내고 있다.
이처럼 본 논문에서는 이주홍이 자신의 창작동화를 통해 암울한 시대를 살아가던 당시의 어린이들에게 재치와 풍자, 익살과 웃음, 선과 악이라는 교훈적인 주제를 주고자 했으며, 이러한 특징들이 전통적인 서사구조인 설화의 서사 법칙과 기능을 계승하고 있다는데 의미를 두고자 한다.
- Author(s)
- 현정란
- Issued Date
- 2019
- Awarded Date
- 2019.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설화 서사법칙 재치 재미 지혜 익살 풍자"."해학 교훈 반복 대조 단선화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348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81222
- Alternative Author(s)
- Hyun Joung Ra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Department
-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 Advisor
- 남송우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1. 연구목적 1
2. 연구사 검토 4
3. 연구 방법 9
Ⅱ. 설화의 서사 법칙과 기능 15
1. 반복의 법칙 18
2. 대조의 법칙 20
3. 단선화의 법칙 22
Ⅲ. 이주홍 창작동화에 나타난 설화의 서사 법칙과 기능 24
1. 「군밤」, 「알 낳는 할머니」, 「아들 삼 형제」 : 반복의 법칙에 나타난 재치와 재미 그리고 지혜 26
1) 반복의 법칙에 나타난 재치 27
2) 반복의 법칙에 나타난 재미 29
3) 반복의 법칙에 나타난 지혜 32
2. 「배암새끼의 舞蹈」, 「고동이」, 「호랑이 이약이」 : 대조의 법칙에 나타난 선/악과 주제 그리고 교훈 35
1) 대조의 법칙에 나타난 선/악 35
2) 대조의 법칙에 나타난 주제 39
3) 대조의 법칙에 나타난 교훈 42
3. 「개구리와 두겁이」, 「청개구리」, 「가자미와 복쟁이」 : 단선화 법칙에 나타난 익살과 해학 그리고 풍자 44
1) 단선화 법칙에 나타난 익살 45
2) 단선화 법칙에 나타난 해학 49
3) 단선화 법칙에 나타난 풍자 51
Ⅳ. 설화의 서사 법칙과 기능을 계승한 이주홍 창작동화의 의의 54
Ⅴ. 결 론 59
참고 문헌 62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