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주시각도별 인지거리 측정을 통한 유도등 유효인지성 평가

Metadata Downloads
Abstract
In Korea, a exit sign is installed at a regular position and a walking distance regardless of the cognition angle and the cognition distance in the exit signs at various angles and positions.
Therefore, this study measured the cognition distance by the angle by the angle of each exit sign type, the validity of the exit sign is evaluated by deriving the effective cognition area (area where one exit signs influences the occupants effectively), and an eye for describing the smoke occurrence situation is further produced, region change.
As a result, the maximum cognition distance was 90° regardless of the type of exit signs. As the angle decreased, the minimum cognition distance at 15° was about 10 meters longer than the maximum cognition distance. Also, as the transmittance decreased, the area of validity also decreased.
Therefore, based on this experiment, we proposed a new installation criterion based on the effective cognition area that one of the exit signs can affect so that the shadow area does not occur.
Author(s)
백상현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376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86088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소방공학과
Advisor
최준호
Table Of Contents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1.3. 국내·외 선행연구 고찰 6
1.3.1. 국내 선행연구 6
1.3.2. 국외 선행연구 8

제 2 장. 인간의 인지·피난행동특성과 유도등 설치기준 10

2.1. 인간의 시각적 인지특성 10
2.1.1 주시 특성 10
2.1.2. 인지의 개념과 의미 12
2.1.3. 색과 픽토그램의 인지 특성 13

2.2. 연기 및 피난행동 특성 14
2.2.1. 연기의 정의와 특성 14
2.2.2. 가시거리별 피난행동특성 17

2.3. 유도등의 개요와 설치기준 19
2.3.1. 유도등 정의와 종류 19
2.3.2 국내외 유도등 설치기준 22
2.3.3. 국내외 화재사례를 통한 유도등의 연구 중요성 31
2.3.4. 유도등의 가시성확보영역(VCA) 이론적 분석 34

제 3 장. 유도등 주시각도별 인지거리 측정실험 37

3.1. 실험 시나리오와 개요 37
3.1.1. 실험 시나리오 설계 37
3.1.2. 실험 절차 및 방법 42
3.1.3. 연기발생 상황을 묘사하기 위한 불투명 안대 제작 45

3.2. 실험대상지의 개요와 참가자 특성 49
3.2.1. 실험대상지 개요 49
3.2.2. 실험환경동기화를 위한 조도측정 51
3.2.3. 참가자 특성과 분포 55

제 4 장. 유도등 종류, 연기농도별 유효인지영역 도출 및 가시성확보영역 비교 분석 56

4.1. 유도등 종류별 유효인지영역 도출 및 분석 56
4.1.1. 피난구유도등 유효인지영역 도출 및 분석 56
4.1.2. 복도통로유도등 유효인지영역 도출 및 분석 60
4.1.3. 거실통로유도등 유효인지영역 도출 및 분석 63

4.2. 유효인지영역과 가시성확보영역(VCA) 비교 분석 66

4.3. 연기농도별 거실통로유도등 유효인지영역 비교 71
4.4. 유도등 종류별 유효인지성 평가 75
4.4.1. 피난구유도등 유효인지성 평가 75
4.4.2. 복도통로유도등 유효인지성 평가 79
4.4.3. 거실통로유도등 유효인지성 평가 82

제 5 장. 결 론 85

참 고 문 헌 88

ABSTRACT 9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소방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