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학령인구감소에 따른 디자인대학 입시제도의 개선방향과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급변하는 현대 산업사회에서의 디자인의 몫은 인간생활 전반 모두에 통용되고 있으며, 디자인의 역할과 중요성은 더욱 중시되고 있다. 4차 산업혁경과 동시에 21세기 총체적인 핵심 분야로 인식되는 디자인은 미적분야 이외에도 실용적, 과학적, 인간공학적인 모든 측면에서 융합적인 성격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국가경쟁력의 원동력으로 연결되어 그에 따른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시스템이 적극 반영되어야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디자인교육은 특성화고, 특목고 및 대학 중심의 전문적 교육과정으로 진행되어 왔고, 일반적인 중·고등학교에서의 교육과정에서는 등한시 되어왔다. 이제 디자인 교육은 중·고등학생들의 일반교육과정에서 시작되어야하며,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져야 한다. 또한 수업 내용에서도 풍경화나 조형중심의 만들기 수업에서 실생활과 연관성 있는 교육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생활과 환경과 경험에서 느껴지는 상상력을 바탕으로 형상화하고 재료의 특성을 관찰하여 자유로운 사고로 다양한 아이디어와 창의력을 바탕으로 하는 실무형 디자인 교육이 되어야 한다. 디자인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현대사회에서 공교육의 비중은 더욱 커져가고 있다. 대학을 중심으로 양성되어지는 상황에서 디자인을 즐기고 이해하고 활동하는 기본 능력을 조기에 길러주고 디자인적 안목과 소질을 육성하는 것이 기자인 교육의 목적 일 것이다. 유럽과 선진국에서는 이미 디자인 교육을 국가 경쟁력의 발판과 사회적 인식으로 대두되어 조기교육에서 대학교육으로 연계에 노력하고 있다. 이제는 디자인분야에서의 장기적인 교육 발전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과 투자를 하고 인적자원과 실질적인 교육정책을 통해 보다나은 윤택한 삶을 이루어야 한다. 특히 중·고등학교와 대학진학의 입시유형의 실질적 연관성을 위해 올바른 제도적 뒷받침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Author(s)
배진흥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2
Type
Dissertation
Keyword
학령인구 감소 입시제도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410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79309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Advisor
홍동식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목적과 필요성 3

Ⅱ. 국내·외 디자인대학 입시제도 4
1. 국내 지역별 미술대학 디자인과의 입시유형 4
1.1 수도권 대학 4
1.2 지방권 대학 15
2. 국외 디자인대학의 입시유형 23
2.1 영어 문화권 23
2.2 비영어 문화권(유럽) 27
2.3 아시아권 32
3. 국외 디자인대학과의 교차 분석 34

Ⅲ. 입시제도의 변화 및 고찰 36
1. 입시제도의 변화 36
2. 입학사정관제도 37

Ⅳ. 고등학교 디자인교육의 고찰 41
1. 고등학교 디자인교육의 현실 41
2. 설문 및 분석 42
3. 제도개선 연구 및 개선방향 51

Ⅵ. 결론 52
1. 학령인구감소로 인한 공교육과 입시제도의 방향 52
2. 결론 및 제언 59

참고문헌 63

〈부록1〉 설문지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산업디자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