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인터넷 1인 먹방 이용과 일상생활 변화에 관한 비교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comparative study on the usage of self-broadcasting Mukbang and alteration of daily life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bstract
In recent years, live video stream, as a new form in the Internet culture, has been expanded rapidly in the Internet market owing to its excellent interactivity and openness. Mukbang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types of live video streams. In this essay, the studied subjects are the new generation of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who own the outstanding personalities. The following contents are about four main aspects: the motivations and the usage pattern of watching the Mukbang; the changes of the behaviors of the college students after watching the Mukbang, and how the motivations and usage patterns affect the college students’ daily life after watching the Mukbang.
Therefore, this essay is a comparative study on the usage of self-broadcasting Mukbang and alteration of daily life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he analysis is conducted by the questionnaires towards the college student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Research Question 1, the motivation of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to watch Mukbang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wo factors among the five viewing factors: online relationship motivation and habitual motivation.
Secondly, the Mukbang usage pattern of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which is Research Question 2, is mainly analyzed in two aspects: the way of watching and the amount of utilization. At first, the analysis of the watching style shows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tors in both the interactive watching style and the repeatedly watching style. Moreover, the analysis of amount of utilization indicates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utilization frequency a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tilization time.
Thirdly, behavior changes after watching the Mukbang of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which is Research Question 3, shows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ctors such as academic chang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s, self-management changes, and diet changes.
Finally, in Research Question 4, in order to find out what factors have o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behavior changes after watching the Mukbang,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ducts by inputting watching motivations and usage patterns, firstly, for Korean college students, ①the motivation for online relationships has been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academic changes, ②the motivation for online relationships has been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s, ③the motivation and the usage patterns has been confirmed to be meaningless on self-management changes, and ④the repeatedly watching has been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diet changes. While, for Chinese college students, ①the motivation for online relationships and the interactive watching forms have been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academic changes, ②the motivation for online relationships and the interactive watching forms have been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s, ③the motivation for online relationships has been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s and informational motivation has been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s, ④ the interactive watching forms has been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diet chang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further studies and researches on the Mukbang.
최근 몇 년 동안 인터넷 개인 방송은 새로운 인터넷 문화 형태로써, 뛰어난 상호작용성과 거의 제로 임계의 개방성으로 신속하게 온라인 시장으로 확산되었다.1인 먹방은 대표적인 인터넷 개인 방송 장르 중 하나다. 이에 본 연구에서 인터넷 1인 먹방이 널리 유행하는 시대에 성장하고 개성이 있는 신세대 한국과 중국 인터넷 1인 먹방을 시청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어떤 이용 동기와 이용형태를 가지며 시청 후 어떤 행동 변화가 있는지와 한·중 양국 학생들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중 대학생의 인터넷 1인 먹방 시청 동기와 이용 행태가 일상생활의 변화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1인 먹방 이용과 일상생활 변화에 관한 비교 연구를 위해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시청동기, 이용행태 및 시청 후 행동변화 설문조사와 연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 한·중 대학생들의 인터넷 1인 먹방 시청 동기는 차이를 살펴본 결과 5개의 시청동기 요인 중 온라인 관계추구 동기, 습관적 동기 2가지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 한·중 대학생의 인터넷 1인 먹방 이용행태는 주로 시청방식과 이용량 두 가지 측면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시청방식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결과, 상호작용 시청방식과 반복시청방식 모두 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용량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결과, 이용빈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 한·중 대학생의 인터넷 1인 먹방 시청 후 행동변화는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업변화, 대인관계변화, 자기관리변화, 다이어트변화 모두 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 한·중 대학생들의 인터넷 1인 먹방 시청 후 행동변화에 미치는 변인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시청동기, 이용 행태를 각각 투입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먼저, 한국 대학생 경우, ①온라인 관계추구 동기가 학업변화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②온라인 관계추구 동기가 대인관계변화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③모두 시청동기와 이용행태가 자기관리변화에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④반복시청방식이 다이어트변화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중국 대학생 경우, ①온라인 관계추구 동기와 상호작용시청방식이 학업변화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②온라인 관계추구 동기와 상호작용시청방식이 대인관계변화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③온라인 관계추구 동기가 대인관계변화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정보동기가 대인관계변화에 유의미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④상호작용시청방식이 다이어트변화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가 향후 인터넷 1인 먹방에 대한 제작과 연구에 참고 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 제공 되리라 기대된다.
Author(s)
YANG SIFAN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인터넷 1인 먹방 시청동기 이용행태 시청 후 행동변화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411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81652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Advisor
한혜경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및 문제제기 1
2. 연구 필요성 4
3. 논문의 구성 5
Ⅱ. 이론적 논의 6
1. 인턴넷 1인 먹방의 등장 배경과 현황 6
가. ‘먹방’의 정의 6
나. ‘먹방’의 등장과 현황 7
(1) 한국 ‘먹방’의 등장과 현황 7
(2) 중국 ‘먹방’의 등장과 현황 10
2. 시청동기에 대한 선행연구 13
3. 이용행태에 대한 선행연구 17
4. 시청 후 행동변화에 대한 선행연구 19
III.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22
1. 연구 문제 22
2.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22
3. 설문지 설계 23
4. 변인의 측정 24
가. 시청동기 25
나. 이용행태 26
(1) 시청방식 27
(2) 이용량 27
다. 시청 후 행동변화 28
IV. 연구 결과 29
1. 설문 응답자의 특성 29
가. 응답자에 대한 기초통계 29
나. ‘먹방’ 이용 특성 30
2. 연구문제 분석 결과 32
가. 시청동기 분석 결과 32
나. 이용행태 분석 결과 36
다. 시청 후 행동변화 분석 결과 40
라. 시청 후 행동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결과 42
V. 결론 46
1.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46
2.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49
참고문헌 51
한국어 설문지 55
중국어 설문지 59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