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미얀마어의 호칭어 대조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comparing Terms of address in Korean and Myanmar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호칭어를 대조하는 것으로 범위를 한정하였다.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유형별 호칭어에 관한 자료를 참고하여 호칭어의 특징이나 유사점 및 차이점을 수집할 것이다. 연구 방법은 대조 분석 방법을 이용한다.
본 연구의 각 장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 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 2 장에서는 호칭어의 개념에 대한 한국과 미얀마 양국어의 호칭어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서 살펴본다. 호칭어의 개념을 ‘상대방을 직접 부르는 말’로 정의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과 미얀마를 대조하는 관점에서 호칭어의 유형을 분류한다.
제 3 장에서는 한국어 호칭어와 미얀마 호칭어를 형태론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제 4 장에서는 한국어와 미얀마어에서 사용되는 호칭어의 유형별 특징들을 기술하고 대조한다.
제 5 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으로 앞장의 내용을 정리하여 마무리한다.
- Author(s)
- AUNG NAY HEIN
- Issued Date
- 2019
- Awarded Date
- 2019.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호칭어 호칭어 대조 연구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415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82119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 Advisor
- 김희섭
-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1.1. 연구 목적 1
1.2. 선행 연구 2
1.3. 연구 방법 4
2. 한. 미 호칭어의 개관 5
2.1. 한. 미 호칭어의 개념 5
2.2. 한. 미 호칭어의 유형 7
3. 한. 미 호칭어의 형태론적인 비교 10
3.1. 한. 미 친족 호칭어의 형태 10
3.2. 한. 미 사회 호칭어의 형태 14
3.3. 한. 미 호칭어의 형태 비교 분석 15
4. 한. 미 호칭어의 유형별 비교 17
4.1. 친족 호칭어 17
4.1.1 한국어의 친족 호칭어 유형 17
4.1.2 미얀마어의 친족 호칭어 유형 18
4.1.3 한. 미 친족 호칭어에 대한 비교 19
4.2. 사회적 호칭어 29
4.2.1 한국어의 사회적 호칭어 향상 29
4.2.2 미얀마어의 사회적 호칭어 향상 35
4.2.3 한. 미 사회적 호칭어에 대한 비교 40
4.3. 한. 미 사회적 호칭어 사용에 대한 비교 45
4.3.1 경정 요인 45
4.3.2 한. 미 상황적 요인에 맥락별 따른 차이 49
4.3.3 한. 미 호칭어의 특징 56
5. 결론 57
참고문헌 60
국문초록 6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