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coated 진공여과 슬러지 탈수공정의 최적화
- Alternative Title
- Optimization of pre-coated vacuum filtration for sludge dewatering process
- Abstract
-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effect on Total Nitrogen, Total Phosphorus, Biochemical Oxygen Demand and Suspended Solids of the dewatering solution and reduction of moisture content of the night soil and sewage sludge in the pre-coated filter process using a mixture of diatomite and natural materials.
Reducing the amount of night soil and sewage sludge dewatering cakes can reduce the operating costs of the sludge treatment facility.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water treatment of sludge cake and water treatment of filtrate would be necessary.
The experiment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types: first experiment is vacuum pressure and filtration time are set as parameters, vacuum pressure is set at 420-600 mmHg, and filtration time is set at 19-25min.
The second experiment was to filter the night soil sludge by mixing the diatomite and filtration supplement properly. Variables contained in oyster shell, charcoal powder, and dolomite were fixed at 50% and filtered for 22mi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eater the vacuum pressure and the greater the filtration time, the smaller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ludge dehydration cake, and the higher the TN, TP and BOD removal rate of the dewatering filtrate. And the moisture content of sludge dehydration cake was smaller when dolomite was mainly achieved rather than oyster shell and charcoal powder, and the rate of removal of TN, TP and BOD of the dewatering filtrate increased.
- Author(s)
- 박혜빈
- Issued Date
- 2019
- Awarded Date
- 2019.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488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22707
- Alternative Author(s)
- Hyebin Park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환경공학과
- Advisor
- 이병헌
-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2. 문헌연구 3
2.1 규조토 여과 3
2.1.1 규조토 특징 및 활용 3
2.1.2 규조토 여과기술 5
2.2 여과보조제 7
2.2.1 숯 7
2.2.2 굴 껍데기 가루 8
2.2.3 돌로마이트 9
2.3 슬러지 11
2.3.1 슬러지의 정의 및 특성 11
2.3.2 슬러지 탈수 12
2.3.3 하수 슬러지 12
2.3.4 분뇨 슬러지 16
2.4 퇴비화 18
3. 실험재료 및 방법 19
3.1 실험재료 및 장치 19
3.1.1 여과 재료(규조토 및 여과보조제) 19
3.1.2 대상 슬러지(하수, 분뇨 슬러지) 20
3.1.3 pre-coat 진공 여과 실험 장치 21
3.2 실험방법 및 계획 22
3.2.1 수질분석법 22
3.2.2 반응표면법에 의한 pre-coat 진공 여과 실험 22
3.2.3 혼합물 실험법에 의한 여과보조제 혼합비 실험 24
4. 실험결과 및 고찰 26
4.1 하수 슬러지의 pre-coat 진공 여과 특성 26
4.1.1 진공압력, 여과시간에 따른 탈수케익의 수분함량 26
4.1.2 진공압력, 여과시간에 따른 탈리액의 총질소 제거 33
4.1.3 진공압력, 여과시간에 따른 탈리액의 총인 제거 38
4.1.4 진공압력, 여과시간에 따른 탈리액의 BOD 및 SS 제거 43
4.1.5 하수 슬러지의 pre-coat 진공 여과시 수분함량, 총질소 및 총인 제거를 고려한 최적운전조건 44
4.2 분뇨 슬러지 pre-coat 진공 여과 특성 45
4.2.1 진공압력, 여과시간에 따른 탈수케익의 수분함량 45
4.2.2 진공압력, 여과시간에 따른 탈리액의 총질소 제거 51
4.2.3 진공압력, 여과시간에 따른 탈리액의 총인 제거 56
4.2.4 진공압력, 여과시간에 따른 탈리액의 BOD 및 SS 제거 61
4.2.5 분뇨 슬러지의 pre-coat 진공 여과 시 수분함량, 총질소 및 총인 제거를 고려한 최적운전조건 62
4.3 pre-coat 진공 여과 여과보조제의 최적혼합비 63
4.3.1 여과보조제의 혼합비에 따른 탈수케익의 수분함량 63
4.3.2 여과보조제의 혼합비에 따른 탈리액의 총질소 제거 68
4.3.3 여과보조제의 혼합비에 따른 탈리액의 총인 제거 72
4.3.4 여과보조제의 혼합비에 따른 탈리액의 BOD 제거 76
4.3.5 여과보조제의 혼합비에 따른 탈리액의 SS 제거 80
4.3.6 분뇨 슬러지의 pre-coat 진공 여과 시 수분함량, 총질소, 총인 및 BOD 제거를 고려한 여과보조제의 최적혼합비 81
4.4 분뇨처리장 슬러지의 규조토 여과 케익의 퇴비화 활용성 82
4.4.1 분뇨처리장 슬러지 케익의 유기물 분석 82
4.4.2 분뇨처리장 슬러지 케익의 중금속 분석 83
5. 결론 85
참고문헌 8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환경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