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변량 분석을 이용한 하수처리장 유출수 수질예측
- Abstract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influent quality of the water quality of a defrosted sewage treatment plant. In 2017, we used multivariate analysis with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response surface regression analysis using BOD, COD, SS, TN, and TP for influent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analysis methods were suitable and reliab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BOD, COD, SS, T-N and T-P predictions of the effluen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of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n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t is easy to find out the causal factors affecting the predicted value because the calculation formula is simple, bu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tends to be large.
The response surfac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predictive equation is complex but the correlation is high, so that better results can be obtained if the data is highly accurate.
Response surface regression analysis is suitable for predicting effluent water quality of a sewage treatment plant. If data are managed by reflecting various variables beforehand,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operation of sewage treatment plant can be improved efficiently.
- Author(s)
- 김철만
- Issued Date
- 2019
- Awarded Date
- 2019.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532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22325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환경공학과
- Advisor
- 이병헌
-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II. 연구대상 및 이론적 배경 3
2.1 울산 방어진하수처리장 현황 3
2.1.1 하수처리장의 유량 및 지역 기상현황 3
2.1.2 하수처리장의 수질 및 운영현황 4
2.2 다변량 회귀분석 방법 7
2.2.1 다중 선형 회귀 분석법 7
2.2.2 반응 표면 회귀 분석법 12
2.3 하수처리장 유출수 예측 모델 14
2.3.1 이론적 유출수 예측 모델 14
2.3.2 통계적 유출수 예측 모델 15
Ⅲ. 자료수집 및 연구방법 18
3.1 울산 방어진 하수처리장의 자료수집 18
3.2 울산 방어진 하수처리장의 연구방법 18
3.2.1 단계적 회귀분석법을 이용한 다변량 회귀분석 모델 20
3.2.2 반응표면법을 이용한 다변량 회귀분석 모델 22
Ⅳ. 결과 및 결과분석 23
4.1 단계적 회귀분석에 의한 하수처리장 유출수의 예측모델 23
4.1.1 단계적 회귀분석에 의한 하수처리장 유출수 BOD 농도 예측 모델 24
4.1.2 단계적 회귀분석에 의한 하수처리장 유출수 COD 농도 예측 모델 29
4.1.3 단계적 회귀분석에 의한 하수처리장 유출수 SS 농도 예측 모델 34
4.1.4 단계적 회귀분석에 의한 하수처리장 유출수 T-N 농도 예측 모델 39
4.1.5 단계적 회귀분석에 의한 하수처리장 유출수 T-P 농도 예측 모델 44
4.2 반응표면 회귀분석에 의한 하수처리장 유출수의 예측 모델 49
4.2.1 반응표면 회귀분석에 의한 하수처리장 유출수 BOD 농도 예측 모델 50
4.2.2 반응표면 회귀분석에 의한 하수처리장 유출수 COD 농도 예측 모델 54
4.2.3 반응표면 회귀분석에 의한 하수처리장 유출수 SS 농도 예측 모델 58
4.2.4 반응표면 회귀분석에 의한 하수처리장 유출수 T-N 농도 예측 모델 62
4.2.5 반응표면 회귀분석에 의한 하수처리장 유출수 T-P 농도 예측 모델 66
4.3 단계적 회귀분석 및 반응표면 회귀분석 예측모델의 비교 70
Ⅴ. 결 론 72
참 고 문 헌 7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환경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