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미디어 콘텐츠의 재매개적 특성에 관한 고찰 : 제이 볼터와 리처드 그루신의 뉴미디어론을 중심으로
- Alternative Title
- A Consideration on the Remediation Characteristics of YouTube Media Contents : Focusing on New Media Theory of Jay Bolter and Richard Grusin
- Abstract
- The free video site YouTube, created in 2006, has become the most influential video site in the world as of 2020. YouTube, the world's largest video platform, has become the most widely used mass media in Korea. However, the content distributed on YouTube was generally familiar as if it had been seen once in the existing media, and therefore wondered, 'Why reproduce existing content on YouTube, a relatively new media?'
This paper interested the phenomenon that media content produced on YouTube is reproduced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First, this paper briefly explained Bolter and Grusin's Remediation theory. Next, it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YouTube through statistics at World and Korea, and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YouTube through research on YouTube in Korea. And then, the paper talked about the main research problem, from the aforementioned theories, statistics and characteristics. Finally, it described some examples of remediation in Youtube.
2006년에 만들어진 무료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는 2020년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동영상 사이트로 자리매김하였다. 세계 최대의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는 우리나라에서도 가장 많이 활용되는 대중매체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유튜브에서 유통되는 콘텐츠들은 대체로 기존 미디어에서 한 번쯤 본 것 같은 익숙함을 느낄 수 있었고, 따라서 ‘비교적 신생 미디어인 유튜브에서 왜 기존의 콘텐츠를 재생산할까?’라는 의구심을 가졌다.
본 논문에서는 유튜브에서 제작되는 미디어 콘텐츠가 기존 미디어의 콘텐츠를 지금의 상황에 맞게 재생산되는 현상에 관심을 두었다. 먼저 볼터와 그루신의 재매개론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국내외의 통계를 통해 유튜브의 현황을 살펴보았고, 국내 유튜브 연구를 통해 유튜브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앞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유튜브에서 왜 기존의 콘텐츠를 재생산하는지에 대해 탐색해보았다. 마지막으로 유튜브에서 재매개가 일어난 사례를 간단히 짚어보았다.
- Author(s)
- 전광현
- Issued Date
- 2021
- Awarded Date
- 2021.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유튜브 뉴미디어 콘텐츠 재매개 비매개 하이퍼매개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54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74860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Advisor
- 김무규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Ⅱ. 본론 6
1. 뉴미디어와 재매개 6
가. 비매개의 의미와 사례 7
나. 하이퍼매개의 의미와 사례 10
다. 재매개의 의미와 사례 13
라. 재매개의 뉴미디어적 함의 16
마. 재매개의 유형 21
2. 뉴미디어와 유튜브 24
가. 유튜브의 이해 25
⑴ 유튜브의 역사와 현황 25
⑵ 유튜브의 연구의 유형 26
나. 유튜브의 속성 27
⑴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28
⑵ 낮은 진입장벽 29
3. 재매개로서의 유튜브 31
가. 재매개하는 유튜브 크리에이터 32
나. 재생산 뉴미디어로서의 유튜브 36
4. 유튜브 사례와 재매개 41
가. 영화의 재매개, B급 영화 리뷰 – 9bul 42
나. 게임의 재매개, 머시니마 – Baby Hapum 45
다. TV 프로그램의 재매개, 유튜브 코미디 – 흔한남매 49
Ⅲ. 결론 56
참고문헌 59
국문 요약 66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