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운동이 노쇠전단계 고령여성의 노쇠지표 및 경동맥 경직도에 미치는 영향
- Abstract
- 본 연구는 노쇠전단계 고령여성에 있어서 노쇠지표, 신체조성, 혈압, 신체기능, 경동맥 구조 및 혈관경직도에 대한 12주간의 복합운동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총 30명의 노쇠전단계 고령여성을 대상으로 운동군 15명과 대조군 15명으로 무선배정한 후, 운동군은 12주간 탄력밴드를 이용한 저항운동과 걷기 중심의 유산소운동을 50분/회와 3회/주의 빈도로 운동 전문가의 지도하에 실시하였다. 모든 참가자의 노쇠지표와 신체조성, 혈압, 신체기능 및 경동맥 구조와 관련된 변인을 운동프로그램 적용 전과 적용 직후에 검사하였다. 참가자 중 총 3명이 중도 탈락(운동군 1명과 대조군 2명)하여 27명(운동군 14명, 대조군 13명)이 연구를 완료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운동군은 12주간의 저항운동과 유산소운동 후 노쇠전단계 고령자의 노쇠지표(허약, 신체활동 감소, 보행속도 감소, 활력감소)가 모두 감소하고, 노쇠전단계 고령자가 14명에서 4명으로 감소하고, 정상단계 고령자가 10명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운동군은 12주간 저항운동과 유산소운동 후 노쇠전단계 고령자의 악력, 보행속도 및 신체활동량이 증가하였다.
셋째, 운동군은 12주 후 좌측 경동맥 수축기 내경이 그룹과 시기간 유의한 상호작용이 있었고, 운동군은 12주 후 수축기 내경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넷째, 운동군은 12주 후 좌·우 경동맥 순응도와 경직도가 그룹과 시기간 유의한 상호작용이 있었고, 운동군은 12주 후 경동맥 순응도가 유의하게 증가하고, 경동맥 경직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다섯째, 운동군의 경동맥 순응도와 경직도의 변화가 서로 관련이 있었고, 신체조성도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노쇠전단계 고령여성에 있어서 저항운동 후 유산소운동이 노쇠지표뿐만 아니라 좌·우 경동맥 경직도를 개선하는 운동프로그램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저항운동과 유산소운동은 고령자가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지역사회에 보급함으로써 고령자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vestigate of a 12-week combined exercise on frailty index,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physical function, carotid artery structure, and stiffness in pre-frail older adults women. Thirty pre-frail older adults women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either the control or exercise groups. The exercise group performed a combined exercise over 12 weeks, consisting of aerobic exercise after resistance exercise for 50 minutes, 3 times a week. All subjects were measured frailty index,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physical function, carotid artery luminal diameters, compliance, and stiffness. The differences in frailty index,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physical function variables, and carotid artery variables and the relative changes between baseline and 12-week, follow up were evaluate.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After 12-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 frailty status, physical activity, walking speed, and right grip strength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2. Time up and go and chair stand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after 12-weeks.
3. Left minimum carotid artery luminal diameter, right and left carotid artery compliance and beta stiffness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after 12-week.
These results concluded that combined exercise program for 12-week improved frailty index, physical function, carotid artery structure, and carotid artery stiffness in pre-frail older adults women.
Key word : pre-frail, combined exercise, frailty index, carotid artery compliance, carotid artery stiffness, older adults
- Author(s)
- 장윤정
- Issued Date
- 2019
- Awarded Date
- 201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노쇠전단계 복합운동 노쇠지표 경동맥 순응도 경직도 고령여성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558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21710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 Advisor
- 김태규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 문제 5
4. 연구의 제한점 6
Ⅱ. 이론적 배경 7
1. 노쇠전단계 7
2. 노쇠지표와 운동 10
Ⅲ. 연구방법 12
1. 연구대상 12
2. 연구절차 14
3. 측정도구 및 방법 15
4. 운동 프로그램 19
5. 자료처리 24
Ⅳ. 연구결과 25
1. 노쇠지표변화 25
2. 신체조성, 혈압 및 신체기능 변화 29
3. 경동맥 변화 33
가. 경동맥 구조변화 33
나. 경동맥 순응도와 경직도 변화 36
4. 경동맥 순응도 및 경직도와 측정 변인의 관계 40
Ⅴ. 논의 42
1. 노쇠지표변화 42
2. 신체조성, 혈압 및 신체기능변화 43
3. 경동맥 변화 45
가. 경동맥 내경 45
나. 경동맥 순응도와 경직도 47
Ⅵ. 결론 및 제언 50
1. 결론 50
2. 제언 51
참고문헌 52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