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터키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오류 분석과 교육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터키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오류분석과 교육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챕터 1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살펴본다. 2000년대 이후 터키인의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터키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터키인의 발음 연구는 더 많이 부족하다. 발음은 읽기나 말하기, 듣기에서도 중요하기 때문에 교육이 중요하다. 챕터 2에서는 한국어와 터키어의 모음 대비를 통하여 한국어와 터키어의 모음 발음의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어를 배우는 터키인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의 단모음과 이중 모음을 어떻게 인식하고 발음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챕터 3에서는 인식 실험과 산출 실험을 통해 터키인 학습자의 단모음과 이중 모음에 대해 오류 분석을 한다. 챕터 4에서는 실험을 바탕으로 발견점을 살펴보고 터키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모음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uthor(s)
이승주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8
Type
Dissertation
Keyword
한국어교육 터키인 학습자 한국어 모음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645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21715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Advisor
권성미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및 연구의 필요성 2
Ⅱ. 한국어와 터키어의 모음 대비 8
1. 단모음
가. 한국어의 단모음 8
나. 터키어의 단모음 11
다. 한⸳터 단모음 대비 14
2. 이중 모음 17
가. 한국어의 이중 모음 17
나. 터키어의 이중 모음 20
3. 터키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습득 난이도 예측 21
Ⅲ. 터키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인식과 산출 양상 분석 22
1. 인식 실험 22
2. 산출 실험 34
Ⅳ. 터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모음 교육 방안 42
1. 실험 분석 후 발견점 및 교육학적 제언 42
2. 한국어 모음 교육 방안 44
Ⅴ. 결론 53
참고문헌 5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