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의 오프셋 인쇄적성에 관한 연구
- Abstract
- 수세기 동안 종이는 신분증(identity document)에 선택된 재료였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부터는 플라스틱이 점차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되면서 종이에 적용된 동일한 인쇄품질을 설정하게 되고 보다 내구성을 높이는 장점을 부각시켜 실용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는 현재 30년 이상 동안 신분증에 사용되고 있으며, 그동안의 경험과 노하우로 ID 카드에 가장 적합한 플라스틱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세계 최초의 폴리카보네이트 신분증은 1989년 핀란드 운전면허증에 사용 된 이후로 폴리카보네이트는 전자 신분증에 가장 적합한 소재로 자리 잡아왔다. 그것은 뛰어난 광학 및 물리적 특성과 디라미네이션(delamination)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플라스틱과 함께 혼합되지 않은 순수한 형태로 사용되고 폴리카보네이트 각각의 레이어들의 조합으로 카드 형태를 만들게 된다.
보안요소는 개인화 정보를 레이저 인그레이빙(laser engraving) 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스크린인쇄를 통하여 색변환잉크(optical variable ink) 효과와 홀로그램 및 광가변이미지(DOVIDs) 등의 높은 레벨의 보안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렌티큘러의 형성과 레이저 인그레이빙 기능을 통하여 개인정보를 레이저 변환 이미지(changable laser image/multi laser image)등으로 적용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10년 이상 지속될 수 있는 높은 내구성으로 칩을 포함하거나 칩리스의 신분증에 적합하다.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의 많은 장점으로 전 세계적으로 신분증 50여 개국, 여권 50여 개국, 운전면허증, 의료보험카드 등 폴리카보네이트의 채택은 유럽을 기반으로 전 세계에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의 표면 거칠기와 표면장력의 제어를 통해 카드 제조공정에 적합한 제품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그 결과 최적의 표면 거칠기와 표면장력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었다.
- Author(s)
- 이세현
- Issued Date
- 2019
- Awarded Date
- 2019.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648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24980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인쇄공학과
- Advisor
- 윤종태
-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II. 이론 3
1.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제조방법 3
1-1.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압출 5
1-2. 박막화 방법 8
1-3. 공압출 필름 10
1-4. 패턴화방법에 의한 필름 제조 11
2. 카드의 기계감응 요소 12
2-1. 특별한 물리적, 광학적 특성 12
2-2. 위변조 방지 구조 13
2-3. 필름제조 기술 17
2-4. 보안카드용 소재로서 폴리카보네이트의 장점 20
3. 폴리카보네이트 표면에너지 모델 20
3-1. 정적법 20
3-2. JKR 모델 22
3-3. 거칠기 돌기의 상호작용 모델 23
3-4. 표면거칠기와 잉크 피복률 25
3-5. 플라스틱의 인쇄적성 27
III. 실험 30
1. 실험재료 30
2. 실험방법 31
2-1. 표면처리 31
2-2. 표면조도의 측정 33
2-3. 표면장력의 측정 35
2-4. 가열신축률 측정 36
3. 인쇄적성 평가 36
IV. 결과 및 고찰 38
1. 표면조도에 따른 인쇄적성 38
2. 온도 및 시간에 따른 표면특성 43
3. 온도 및 시간에 따른 표면장력 특성 46
4. 가열신출률 측정결과 50
5. 인쇄적성 평가 52
V. 결론 58
참고 문헌 60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인쇄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