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중학생참여자의 스포츠품성이 친사회적행동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Sports Characteristics on the Pro-social Behavior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Interscholastic Sports Club Competi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ports person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scholastic sports club competitions on pro-social behavior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ree hundred and fif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scholastic sports club competition held by the ‘A’ Office of Education in Busa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is study and they fulfilled in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82 questions. By excluding 29 questionnaires with poor response, total 321 were analyzed for verifying the hypothes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orts characteristics, pro-social behavior,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ir gender, sports type, participation experience, type of participation and exercise frequency.
Second, it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ports personality, pro-social behavior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ird, only two sub-factors of sports characteristics, consideration and place manage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o-social behavior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interscholastic sports club competition.
Fourth, the self-respect and concentration of sports characteristic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interscholastic sports club competi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한 중학생의 스포츠품성이 친사회적행동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부산광역시 A 교육지원청장배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자 중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82개 설문지 문항을 구성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29개 설문지를 제외한 총 321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품성, 친사회적행동, 학교생활만족도에 있어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중학생 참여자의 스포츠품성이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스포츠품성의 하위요인 배려성과 자리관리에서 친사회적행동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중학생 참여자의 스포츠품성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스포츠품성의 하위요인 자기존중과 집중력에서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여는 학생들의 학교생활과 일상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현장에서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여를 적극적으로 권장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uthor(s)
김희택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8
Type
Dissertation
Keyword
학교스포츠클럽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스포츠품성 친사회적행동 학교생활만족도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651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20844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Advisor
김태규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 가설 5
4. 연구의 제한점 7
5. 용어의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0
1. 학교스포츠클럽 10
2. 학교스포츠클럽대회 14
3. 스포츠품성 17
4. 친사회적행동 20
5. 학교생활만족도 22

Ⅲ. 연구방법 24
1. 연구대상 24
2. 연구절차 26
3. 조사도구 27
4. 자료처리 31

Ⅳ. 연구결과 32
1.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중학생 참여자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품성, 친사회적행동, 학교생활만족도 차이 32
가. 성별에 따른 스포츠품성, 친사회적행동, 학교생활만족도 차이 32
나. 출전형태에 따른 스포츠품성, 친사회적행동, 학교생활만족도 차이 34
다. 초등학교경험에 따른 스포츠품성, 친사회적행동, 학교생활만족도 차이 35
라. 참가종목유형에 따른 스포츠품성, 친사회적행동, 학교생활만족도 차이 37
마. 참여수에 따른 스포츠품성, 친사회적행동, 학교생활만족도 차이 39
바. 운동횟수에 따른 스포츠품성, 친사회적행동, 학교생활만족도 차이 41
사. 운동기간에 따른 스포츠품성, 친사회적행동, 학교생활만족도 차이 43
2.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중학생 참여자의 스포츠품성, 친사회적행동, 학교생활만족도 상관관계 차이 44
3.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중학생 참여자의 스포츠품성이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46
4.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중학생 참여자의 스포츠품성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47

Ⅴ. 논의 48
1.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중학생 참여자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품성, 친사회적행동, 학교생활만족도 차이 48
가. 성별에 따른 스포츠품성, 친사회적행동, 학교생활만족도 차이 48
나. 출전형태에 따른 스포츠품성, 친사회적행동, 학교생활만족도 차이 49
다. 초등학교경험에 따른 스포츠품성, 친사회적행동, 학교생활만족도 차이 50
라. 참가종목유형에 따른 스포츠품성, 친사회적행동, 학교생활만족도 차이 51
마. 운동횟수에 따른 스포츠품성, 친사회적행동, 학교생활만족도 차이 52
2.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중학생 참여자의 스포츠품성이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53
3.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중학생 참여자의 스포츠품성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54

Ⅵ. 결론 및 제언 56
1. 결론 56
2. 제언 57

참고문헌 59
부록 67
국문초록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