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한국 안동시 하회마을의 문화보존과 중국향촌 문화보존에 주는 시사점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Cultural preservation in Hahoe Village, Andong, South Korea and its enlightenment on the preservation of Chinese rural culture
Abstract
In recent years, with the sequela of development, the urban-rural gap has widened. The problems of rural hollowing out and aging are becoming more and more prominent. When urban and rural areas coexist, rural culture needs new understanding and changes. At this time, the traditional value of the village of Andong Hahoe was discovered. The combination of the positive role of rural organizations and other urban factors and rural space has enabled Hahoe villages to find a new way out for rural development. This paper selects Hahoe Village in Andong City, South Korea as the research object. Using the research framework of the country, the market, and the society, we analyze the cooperation of the three forces of the administrative, commercial, and villages in the cultural preservation of the Hahoe village. From the three aspects of the main body, object and carrier of the cultural preservation of Hahoe Village, we can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administration, commerce and village in the process of cultural preservation in Hahoe Village.
Author(s)
ZHANG SHAOBO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8
Type
Dissertation
Keyword
하회마을 향촌 문화 보존 중국향촌 행정 상업 마을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654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23502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중국학과
Advisor
예동근
Table Of Contents
1. 서론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1.2. 연구범위과 연구방법 6
가. 연구범위 6
나. 연구방법 7
1.3. 하회마을 선정 이유와 분석틀 9
2. 문헌검토 12
2.1. 용어 정의 12
가. 향촌문화의 정의 12
나. 문화보존의 범위 13
2.2. 한국과 중국의 전통향촌 문화보존에 대한 연구 분석 14
2.3. 하회마을에 관한 연구 17
3. 하회마을 문화보존의 현황과 특징 20
3.1. 하회마을의 현황 20
3.2. 하회마을의 문화보존의 현황 21
가. 주체로서 문화자각과 자신감 21
나. 객체로서 유형, 무형문화의 계승 27
다. 매개체로서 전통문화 공간의 유지 30
3.3. 하회마을의 문화보존의 특징 33
가. "선보호-후개발"의 발전 모델 33
나. "离土不离乡"의 혈연 응집 35
다. "离乡不离土"의 지연 상속 36
4. 중국향촌 문화 보존의 문제와 하회마을 문화보존에 주는 시사점 38
4.1. 중국 향촌의 발전 문제 38
4.2. 중국 향촌의 문화 보존 문제 40
4.3. 중국 향촌발전과 문화보존의 관계 43
4.4. 시사점 47
가. 행정-상업 47
나. 상업-마을 48
다. 행정-마을 49
5. 하회마을 문화보존에 대한 부족과 도전 51
5.1. 하회마을 문화보존의 부족 51
5.2. 하회마을 문화보존의 도전 53
6. 결론: 요약과 한계점 54
6.1. 요약 54
6.2. 한계점 55
참고문헌 57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중국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