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역동 집단상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bstract
- 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Psychodynamic Group Counseling Experience'.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wo to three times for the seven participants in the psychodynamic group counseling, and the data was transcribed and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by applying phenomenological reduction. The study result is, First, the key components of the psychodynamic group counseling experience were ‘participating with expectations in the group', ‘expressing repressed emotions through interactions of groups’, ‘facing repressed emotions’, and ‘moving toward growth being aware of repressed emotions’. Second, as a process of psychodynamic group counseling experience is the process of changing ‘being nervous', to 'being together' and 'realization' over time. The journey of the psychodynamic collective counseling experience is summarized as follows. While participating in group counseling, they experience discomfort with self-opening, but the dynamic of the group led to the onset of self-openness. they are changing as they realize and accept that the past unresolved emotions are the cause behind the current problems that arise from the face of group leaders and members. As a result, the essence of the psychodynamic collective counseling experience was identified as 'moving toward growth'.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nature of the psychodynamic group counseling experience has been given and interpreted as ‘advance towards growth’. After all, their psychodynamic group counseling experience is a gradual process of change and a process of growth in the life of professional counselo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s the in-depth implications of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psychodynamic group Couns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help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Psychodynamic group counseling’ for having the emotional insight living a mature life.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empirical and contextual confirmation of how the techniques and therapeutic factors of psychokinetic collective counseling are being revealed in practice.
본 연구는 ‘정신역동 집단상담’ 참여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살펴본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정신역동 집단상담에 참여한 7인을 대상으로 2∼3회에 걸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이것을 전사하여 현상학적 환원과 태도변경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정신역동 집단상담 경험의 핵심적 구성요소는 ‘집단에 기대를 가지고 참여함’, ‘불안해서 나를 드러내지 못함’, ‘집단을 믿으며 솔직한 자기개방을 함’, ‘집단의 상호작용으로 억압된 감정이 표출되기 시작함’, ‘억압된 감정과 직면함’, ‘억압된 정서에 대한 통찰이 일어남’, ‘성장을 향해 나아감’이었으며, 이를 참여자들의 구체적인 경험 진술을 바탕으로 상황적 구조를 기술하였다.
둘째, 정신역동 집단상담 경험 중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과정적 경험에서는 ‘불안함’, ‘함께함’, ‘깨달음’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거치고 있었다. 정신역동 집단상담 경험의 여정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집단상담에 참여하면서 초기에는 자기개방에 대한 불편함을 겪지만, 집단원들과 경험을 나누는 과정에서 동질감이 형성되자 자발적인 자기개방이 시작되었다. 이후 집단상담자와 집단원들의 직면으로 현재 나타나는 문제의 이면에는 자신이 과거에 해결하지 못한 정서가 있었음을 통찰하고 수용과 변화의 과정으로 나아갔다. 이러한 과정을 기초로 정신역동 집단상담 경험의 본질을 ‘성장을 향해 나아감’으로 규명하였다.
결론적으로 정신역동 집단상담 경험은 변화에 대한 점진적인 과정이며, 정서적 통찰로 나아가는 성장 과정으로, 정신역동 집단상담 경험의 본질은 “성장을 향해 나아감”이라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서적 통찰과 성숙한 삶을 위한 ‘정신역동 집단상담’의 효과성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정신역동 집단상담의 기법과 치료적 요인이 실제에서 어떻게 드러나고, 참여자들의 경험의 의미는 어떠한가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는 것이다.
- Author(s)
- 김지연
- Issued Date
- 2021
- Awarded Date
- 2021.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정신역동 집단상담 통찰 질적 연구 현상학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72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74405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평생교육·인적자원개발전공
- Advisor
- 천성문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1. 정신역동 집단상담 6
2. 정신역동 집단상담에 관한 선행연구 14
Ⅲ. 방 법 18
1. 현상학적 연구 18
2. 연구절차 22
3. 연구자의 경험 및 연구 주제에 관한 선(先) 이해 32
4. 연구의 평가 35
Ⅳ. 결 과 38
1. 정신역동 집단상담 경험의 구성요소 도출 과정 38
2. 정신역동 집단상담 경험의 상황적 구조 기술 48
3. 정신역동 집단상담 경험의 일반적 구조 기술 102
4. 정신역동 집단상담 경험의 맥락적 구조 기술 108
V. 논 의 111
Ⅵ. 요약, 결론 및 제언 121
1. 요약 및 결론 121
2. 제언 123
참고문헌 125
Abstract 130
부록 132
1. 연구 참여 동의서 132
2. 면담질문지 134
3. Giorgi 분석 2단계 예시 135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평생교육인적자원개발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