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ral Flow Assay 방법을 이용한 원유(raw milk)내 잔류 항생 물질 모니터링
- Alternative Title
- Monitoring of Antibiotic Residues in Raw Milk Using Lateral Flow Assay
- Abstract
- 경북 지역에서 생산된 원유 내 항생 물질의 잔류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상북도에서 122개 농가를 선정하여 식품의 기준 및 규격에 명시된 항원ᆞ항체반응을 이용한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을 활용, 항생 물질의 잔류 여부를 검사한 결과 총 19,032개의 샘플 중에서 35건이 양성으로 판정되어 항생 물질 양성 반응의 검출 비율은 0.184%로 나타났다.
특히, 검사 가능한 7개 계열의 항생 물질 중에서 가장 많은 검출 비율을 나타낸 계열은 Beta-lactam(42.9%)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가장 넓은 스펙트럼의 항균 범위를 가지고 있고,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처방되기 때문이다.
계절별로는 겨울(45.7%), 여름(28.6%), 봄(17.1%), 가을(8.6%)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겨울에 젖소의 생육 환경과 세균에 대한 민감성이 약해지기 때문에 해당 시기에는 젖소에 대한 항생 물질 투여를 통해 질병에 대한 내성을 높이고, 질병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생 물질 양성 반응으로 검출된 사례를 분석한 결과 양성 반응 검출 요인은 유방염에 관련된 치료 및 취급 과정에서 항생 물질이 전이되는 경우가 37.10%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는 대사성 질환이 17.10%로 나타났으며, 휴약 기간 오류 또는 개체우(牛) 식별 미흡에 의한 휴먼 에러(human error)에 의한 요인이 동일하게 17.10%로 나타났다.
Smart antibiotic residues test kit로 가능한 검사는 총 74종류로서 MRLs 범위 내에서 유의미하게 검출 가능한 항생 물질의 비율은 91.89%로 나타났다.
현행 사용 중인 간이 신속 검사 Kit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원유의 항생 물질 검사 체계를 공고히 하기 위해서 유업체와 같은 제조사는 집유 농가에 대해 사용중인 항생 물질에 대하여 정기적인 전수 조사를 하여 해당 항생 물질의 성분이 무엇인지, 그리고 현재의 검사 체계에서 스크린이 되는지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검사 체계를 업그레이드하여야 한다.
또한, 이에 대한 농가 교육과 지도가 병행되어야 하며, 항생 물질의 농도에 따른 비의도적 희석에 유의하여야 한다.
집유 농가는 현재의 검사 체계의 취약점에 대해 인지하면서 항생 물질의 오•남용에 주의 하여야 하고, 유방염의 예방 관리와 치료에 유의 하여야 한다. 또한, 휴먼 에러 등에 의한 휴약 기간 오류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고, 평시 축사의 환경 및 위생 관리에 만전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Author(s)
- 최형윤
- Issued Date
- 2020
- Awarded Date
- 2020.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Lateral Flow Assay 원유 항생 물질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726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93271
- Alternative Author(s)
- Hyung Youn Choi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글로벌수산대학원
- Department
- 글로벌수산대학원 식품산업공학과
- Advisor
- 김영목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Ⅱ. 본론 10
1. 실험 재료 10
2. 이론 및 측정 원리 14
3. 실험 방법 및 절차 19
Ⅲ. 결과 및 고찰 21
1. 양성반응 검출율(Positive detection rate) 21
2. 계열별 검출 빈도(Detection frequency by antibiotic class) 23
3. 기간별 검출 빈도(Frequency of detection by period) 26
4. 항생 물질의 검출 요인(Antibiotic detection factors) 29
5. 유효성 검증(Verification) 31
6. 식품 내 잔류 동물용 의약품에 대한 향후 과제 52
Ⅳ. 요약 55
Ⅴ. 참고문헌 5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글로벌수산대학원 > 식품산업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