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제조업 사업장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비화재보 발생원인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Cause Analysis of False Alarms i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at a Manufacturing Plant
Abstract
As firefighting objects grow in size and complexity of industrial facilities, large fires that could cause many casualties have occurred, and social demands on fire-fighting are increasing. In today's society, where the failure rate is reduced across all industries, frequent false fire alarm of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raise doubts about whether it is a reliable facility that can protect lives and property.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alse fire alarm that actually occurred at large manufacturing establishments, analyze them based on the type of sensor, cause of occurrence, and place of occurrence, authorised sensitivity test was conducted to obtain quantitative data and analyze them, and find ways to reduce the cause of occurrence of false fire alarm warnings.
A total of 985 false fire alarms were investigated over three years, and 421 unknown causes operations were related to relative humidity. Therefore, if a water-proof sensor is used, it is judged that the false fire alarm can be reduced.
Author(s)
김선우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2
Type
Dissertation
Keyword
비화재보 자동화재탐지설비 화재감지기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73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74323
Alternative Author(s)
Sun Woo Kim
Affiliation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Department
산업대학원 소방공학과
Advisor
최준호
Table Of Contents
1.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2. 비화재보의 특징과 감지기 설치기준 및 감도시험 기준 4
2.1. 비화재보의 개요 및 정의 4
2.1.1. 비화재보의 정의 및 영향 4
2.1.2. 대규모 제조업 사업장 비화재보의 특징 5
2.1.3. 비화재보 관련 국외 선행연구 6
2.1.4. 비화재보 관련 국내 선행연구 8
2.2. 감지기 종류 및 감지기 관련 법 기준 10
2.2.1. 감지기의 종류 및 설치기준 10
2.2.2. 감지기의 감도시험 기준 15
3. 비화재보 조사방법 및 원인별 분류 19
3.1. 비화재보 조사대상 및 조사방법 19
3.1.1. 조사대상 현황 19
3.1.2. 조사방법 20
3.2. 비화재보 원인별 분류 22
3.2.1. 인위적 원인 22
3.2.2. 환경적 원인 24
3.2.3. 알 수 없는 원인 26
3.3 비화재보 발생 장소별 분류 27
3.4 비화재보 현장조사 한계점 32
4. 비화재보 유형 분류 및 원인 분석결과 33
4.1. 기구별 비화재보 발생현황 33
4.1.1. 발신기 원인 37
4.1.2.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 원인별 동작 현황 38
4.1.3.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 원인별 동작 현황 39
4.1.4. 광전식 스포트형 감지기 원인별 동작 현황 40
4.1.5. 불꽃감지기 원인별 동작 현황 41
4.2. 원인별 비화재보 발생 분석 42
4.2.1. 원인별 비화재보 발생 현황 44
4.2.2. 환경적 요인 분석 45
4.2.3. 인위적 요인 분석 48
4.2.4. 알 수 없는 원인 분석 53
4.3 장소별 비화재보 발생 분석 54
4.4. 감지기 이상동작 원인 분석 63
4.4.1. 감지기 종류별 이상동작 분석 63
4.4.2. 발생 장소별 이상동작 분석 64
4.4.3. 이상동작 발생원인 분석 65
5. 결론 77
참고문헌 8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소방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