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lation structure of Stenothoe valida (Amphipoda, Stenothoidae)
- Alternative Title
- Stenothoe valida의 개체군 구조
- Abstract
- Stenothoe valida는 저서성 단각류의 일종으로, 저서성 단각류의 생활사는 다양한 환경요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본은 2018년 10월부터 2019년 9월까지 부산의 청사포와 기장에서 채집하였다. 채집된 표본의 개체군은 크기빈도분포를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S. valida의 크기는 두장을 기준으로0.075 mm부터 0.6 mm까지 0.025 mm 간격으로 크기 그룹을 나누었다. 이들은 다시 성적 이형을 기준으로 암컷, 포란 암컷, 수컷, 미성체로 나누었다. 성장 및 가입 추정을 위해 FiSAT II (FAO-ICLARM stock assessment tools II, Version 1.2.2)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개체 중 가장 큰 두장은 2월, 가장 작은 두장은 11월에 출현했다. 전체 크기 구간 중 0.175 – 0.2 mm 크기 구간이 가장 많이 출현했고 이 크기 구간은 모두 미성체였다. 암컷과 수컷은 연구 기간 내내 출현했고 성비[암컷/(암컷+수컷)] 는 2월과 11월을 제외한 모든 월에서 0.5를 넘었다. 포란 암컷은 모든 월에서 출현하였으며 포란수는 2월에 가장 높았고 5월에 가장 낮았으며 통계 분석결과 성비와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크기빈도분포를 기반으로 한 modal progression analysis 결과, 연급군은 계절에 따라 2개에서 4개사이로 출현했다. 늦가을에서 봄사이에 출현한 연급군은 여름에서 초가을까지 출현한 연급군에 비해 가장 성장한 두장과 수명이 모두 더 길었으며, 이는 수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미성체의 비율은 초봄에 최대치를 보인 후 여름철까지 감소하다 가을철에 접어들며 증가하였다. FiSAT의 NORMSEP을 이용한 가입율 분석 결과 4월과 9월을 중심으로 하는 두 개의 정규분포곡선이 나타났다. 따라서 주 가입시기는 이른 봄철과 가을시기로 판단된다.
- Author(s)
- 이예지
- Issued Date
- 2020
- Awarded Date
- 2020.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748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95373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해양생물학과
- Advisor
- 박원규
-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1
2. Materials and methods 3
2.1. Sampling site and methods 3
2.2. Analysis of samples 5
2.3. Analysis of population structure 7
2.4. Statistical analysis 8
3. Results 9
3.1. Water temperature 9
3.2. Population structure 11
3.2.1. Size frequency distribution 13
3.2.2. Sex ratio and brood size 16
3.3. Growth and recruitment 20
3.3.1. Growth 20
3.3.2. Recruitment 22
4. Discussion 25
5. References 29
Acknowledgements 3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해양생물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