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내 한류 드라마의 수용이 한국 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Alternative Title
- The Acceptance of Hallyu Drama in China on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Commodities
- Abstract
- 본 연구는 한류 문화 콘텐츠의 중국의 진출을 중요한 시점이라는 관점을 갖고 글로벌 경제공동체 차원에서 중한 양국의 문화산업이 지속적인 발전에 대해 학문적인 논의의 필요성이 있다. 특히 한국 드라마가 중국에서의 전파는 단순히 유행 현상 아닌 한 나라의 드라마가 오랫동안 다른 나라에서 불티나게 방영될 수 있는 것이 매우 연구할 필요한 문제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문화계발효과이론을 근거하여 한국드라마의 수용이 한국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유효 설문지의 통계처리는 SPSS2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측정변수의 분포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수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 이용된 분석방법은 신뢰도 검증과 상관관계분석을 활용하여 마지막으로 연구가설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한국 드라마의 시정정도가 한국 제품에 대한 인지적 태도, 감정적 태도와 구매의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결과를 통해 문화계발효과이론에서 제안하는 시청정도라는 변인이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되었다는 것으로 보인다. 다음 한류 드라마에 대한 선호도가 독립변인으로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적 태도, 감정적 태도와 구매의도에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했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에 한류 드라마는 다른 나라의 드라마에 비하여 수용자가 드라마와 관련된 특정 선호가 형성되고 특정 태도 및 행동을 유발하게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국 제품에 대한 인지적 태도와 감정적 태도 모두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제품에 대한 태도가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한다는 관점이 본 연구에서도 입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통해 몇 가지 의미 있는 점들을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문화계발효과이론은 텔레비전 시청을 통해 배양된 내용에 대한 현실 인식이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있는 것으로 본 연구는 한류 드라마 시청을 통해 개인의 인지적이나 감정적 태도가 형성되면서 구매행위로 배양된 경로를 밝혀진다는 것이다. 둘째, 한류 드라마의 영향력이나 경제적 파급효과가 무시할 수 없는 점이다. 한류 드라마를 이용한 마케팅과 수출전략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인터넷 동영상사이트는 한류 드라마의 올바른 중국시장진출에 매우 중요한 매개가 될 수 있는 점으로 대성공을 거둔 장기적인 중국 시장에 진출을 기대한다.
Taking the view that the entry of Korean Wave cultural contents into China is an important point, this study requires academic discussions on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t the global economic community level. In particular, the spread of Korean dramas in China is not just a trend, but the fact that dramas from one country can be aired in another country for a long time is a very necessary matter to study. Therefore, the method of empirical analysis was used in this study for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about the impacts of Korean dramas affects and preference on people's attitude towards Korean products and purchasing intention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theory.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collected effective questionnaire was analyzed using the SPSS25.0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measurement variables, and exploratory factorial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variables. Nevertheless, the analysis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used to verify the theory of research and to use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the degree of correction of Korean dramas affects both the cognitive attitude, emotional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It seems that the results obtained have verified the influence of the argument of viewing degree proposed by the cultivation theory. The preference for the next Korean Wave drama was an independent variable, which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attitude, emotional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and all produ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refore, Hallyu dramas allow inmates to form certain preferences related to dramas and cause certain attitudes and behaviors compared to dramas in other countries. Finally, both cognitive and emotional attitudes toward Korean products have a positive effect on purchasing intentions unde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Therefore, the view that attitudes toward Korean product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urchasing intentions has been demonstr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have allowed us to summarize some meaningful points. First, the cultivation theory affects the perception of reality or behavior of content cultivated through watching television, and this study reveals the route of development into purchasing behavior as an individual's cognitive or emotional attitude is formed through watching Korean dramas. Second, the influence or economic ripple effect of Korean dramas cannot be ignored. It could also have a lot of influence on marketing and export strategies using hallyu dramas. Third, the Internet video site is expected to enter the long-term Chinese market, which has been a huge success, as it can be a very important medium for Korean dramas to enter the right Chinese market.
- Author(s)
- LI SIQI
- Issued Date
- 2021
- Awarded Date
- 2021.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한류 문화콘텐츠 문화계발효과이론 태도 구매의도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82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68726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Advisor
- 김용호
-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방법 5
3. 논문의 구성 5
Ⅱ. 이론적 논의 7
1. 한류 7
가. 한류의 정의 7
나. 한류의 발전과정 8
다. 한류콘텐츠 및 현황 13
(1) K-POP 14
(2) 예능 프로그램 16
2. 한류 드라마 18
가. K-드라마 발전 및 확산 18
나. K-드라마의 수용 20
(1) 수용원인 20
(2) 수용경로 21
(3) 수용현황 23
3. 문화계발효과이론 25
4. 태도 및 선행연구 28
5. 구매의도 및 선행연구 32
III. 연구 설계 35
1. 연구 모형 및 연구 가설 35
가. 연구모형 35
나. 연구가설 36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37
가. 시청정도 37
나. 선호도 38
다. 태도 39
라. 구매의도 40
3. 조사대상 및 분석방법 41
가. 조사대상 41
나. 분석방법 41
IV. 연구결과 43
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정 43
2. 한류 드라마의 수용실태 44
3.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46
가. 선호도의 검증 47
나. 한국 제품에 대한 태도의 검증 48
다. 구매의도의 검증 50
4. 측정변수의 상관관계분석 51
5. 연구가설 검증 52
가. 가설1의 검증 52
나. 가설2의 검증 54
다. 가설3의 검증 55
라. 가설4 및 가설5의 검증 57
6. 가설검증 결과요약 59
7. 연구의 종합적 분석결과 60
V. 결론 및 논의 63
1.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63
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67
참고문헌 69
설문지 78
국문 초록 86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