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구역 대형저서동물의 군집 및 건강도 평가
- Alternative Title
-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o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 Abstract
- The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os assemblages were investigated in the subtidal area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Southern Coast of Korea. Benthic fauna samples were collected seasonally at 8 stations in the subtidal area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from February, 2013 to October, 2015. During the survey, total of 380 species, 4,603 ind/㎡. of macrobenthos in all of sampling area and 197.8 gWWt/㎡. were collected. The major dominant species were the polychaetes Minuspio japonica, Pseudopolydora kempi, Heteromastus filifomis, Capitella capitata, Arthropoda Grandidierella japonica and the bivalvia Arcuatula senhousia. Some species of polychaetes found in the study area consisted of opportunistic species that showed high densities when habitat condition was poor. On the other hand, macrobenthos assemblages in the study area were divided into brackish and oceanic groups. Abundance was high in brackish group, while the number of species and diversity index were high in oceanic group. The three indices (AMBI, M-AMBI and BHI) in the assessment of health levels based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number of species in macrobenthic were commonly shown to be in good condition in the group of oceanic stations, while relatively poor conditions were reflected in the group of brackish stations. Compared to other indices, the M-AMBI index of the three indices for health assessment was considered to be a relatively more appropriate one to reflect environmental conditions.
낙동강 하구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 군집과 건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2013년 2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각 8개 정점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해역에서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380종이었고, 단위면적당(㎡) 출현 개체수와 생체량은 각각 4,603개체와 197.8 gWWt이었다.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주요 우점종은 환형동물 다모류의 Minuspio japonica, Pseudopolydora kempi, 고리버들갯지렁이(Heteromastus filifomis), 등가시버들갯지렁이(Capitella capitata), 절지동물 갑각류의 발성육질꼬리옆새우(Grandidierella japonica) 및 연체동물 이매패류의 종밋(Arcuatula senhousia) 등이었다. 연구해역에서 관찰된 다모류의 일부 종은 서식처의 환경상태가 불량할 때 높은 밀도를 나타내는 기회종들로 구성되었다. 한편 연구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염분 농도의 구배에 따라 기수역과 해양역 정점군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기수역 정점군은 출현 개체수가 높았던 반면, 해양역 정점군은 출현 종수와 다양도 지수가 상대적으로 높아 차이가 있었다.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생태학적 특성과 개체수를 기초로 한 건강도 평가에서 3개 지수(AMBI, M-AMBI, BHI)는 공통적으로 해양역 정점군에서는 양호한 상태를 나타낸 반면, 기수역 정점군에서는 상대적으로 불량한 상태를 반영하였다. 또한 건강도 평가의 3개 지수중에서 M-AMBI지수는 다른 지수들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환경상태를 보다 적절하게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Author(s)
- 이진우
- Issued Date
- 2020
- Awarded Date
- 2020.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하구역 건강도 낙동강 군집 AMBI 대형저서동물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820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94869
- Alternative Author(s)
- Jin Woo LEE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해양생물학과
- Advisor
- 오철웅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Ⅱ. 재료 및 방법 7
2.1 현장조사 7
2.2 분석 10
가. 군집분석 10
나. 건강도 평가 11
Ⅲ. 결 과 18
3.1 동물군별 출현양상 18
가. 출현 종수 21
나. 개체수 21
다. 생체량 22
3.2 우점종 28
3.3 생태학적 제 지수 37
가. 다양도 37
나. 균등도 37
3.4 군집구조 40
3.5 건강도 평가 46
가. AMBI 46
나. M-AMBI 46
다. BHI 47
Ⅳ. 고 찰 51
4.1 연구해역 환경 51
4.2 대형저서동물 52
4.3 건강도 57
Ⅴ. 요약 59
Ⅵ. 참고문헌 61
Ⅶ. 감사의 글 7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해양생물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