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공동체 라디오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Community radio for invigoration of traditional market : based on interviews with the persons concerned
- Abstract
- 본 연구는 전통시장 공동체 라디오 활동에 참여했던 DJ들의 경험과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공동체 라디오로서의 의미를 분석하고 있다. 연구대상으로 부산시 중구의 부평깡통시장라디오방송국을 선정하였으며 전통시장 활성화를 비롯한 지역 공동체 라디오의 특성과 콘텐츠 제작 그리고 유통의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부평깡통시장 라디오방송국과 타 지역 전통시장 공동체 라디오의 사례 분석, 참여자와 관련기관, 시민단체 관계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전통시장 공동체 라디오 활동은 지역 공동체의 가치를 담아내는 마을미디어 활동이다. 둘째, 미디어 콘텐츠 제작과 보이는 라디오 SNS 방송 등 공동체의 지역성을 실현하는 효과적인 매체로 전통시장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셋째, 공동체라디오의 콘텐츠는 공동체를 연결하며 개인이 연결점이 되어 온오프라인에서 상호작용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전통시장 공동체 라디오가 지속가능할 수 있도록 관련 전문기관의 교육과 제작 지원 등이 꾸준해야 한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전국마을미디어 네트워크의 필요성과 부산마을미디어지원조례 제정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experiences of DJ’s participated in traditional market community radio activity and its meaning as community radio for vitalizing traditional market. Bupyeong can market radio station in Jung-gu, Busan was selected as a research subject and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radio and content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were obtained, including the activation of traditional market.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can be obta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Bupyeong can market radio stations and other local traditional market community radio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related organizations and civil society officials. First, traditional market community radio activities are village media activities that reflect the values of local communities. Second, it can contribute to revitalization of the traditional market as an effective medium that realizes the locality of the community such as media contents production and visible rdio SNS broadcasting. Third, the content of community radio connects online and offline as individuals connect.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education and production support of related professional institutions should be steady so that traditional market community radio could be sustainable. The necessity of the National Village Media Network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Busan Village Media Support Ordinance must be made.
- Author(s)
- 김은영
- Issued Date
- 2020
- Awarded Date
- 2020.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전통시장 활성화 전통시장 공동체 라디오 상인DJ 시민DJ bifFM 마을미디어지원조례제정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940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94841
- Alternative Author(s)
- Eun Young Kim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Advisor
- 남인용
-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1
2. 이론적 고찰 3
1. 전통시장의 과거와 현재 3
2. 공동체 라디오의 개념 5
3. 공동체 미디어 연구 8
3.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17
1. 연구문제 17
2. 연구방법 18
4. 연구결과 22
1. 타 지역 사례 22
가. 수원 못골시장/ 온에어 라디오 스타, 글로벌 명품시장 남문시장 9개 통합방송국의 리드 역할 22
나. 지리적 특성, 공동체의 외적 조건 24
(1) 수원 못골시장 24
(2) 수원 남문시장 글로벌 명품시장 27
(3) 전주 남부시장/ 별다방 준모씨, 준모닝 굿모닝 28
(4) 구리전통시장 29
다. 타 지역 전통시장의 활성화· 공동체 의식의 발전에 기여하는 라디오 31
(1) 라디오 콘텐츠 특성 31
(2) 전통시장 공동체 라디오의 장점 38
2. 부평깡통시장 41
가. 부평깡통시장 라디오 방송국 43
(1) 부평깡통시장 라디오 방송국과 공동체 의식 향상 44
(2) 소통과 감성의 생생 비타민 부평깡통시장 라디오 46
(3) 부평깡통시장 라디오 DJ 활동의 의미: 지역·공동체 49
(4) 부평깡통시장 라디오 콘텐츠의 공감 52
(5) 부평깡통시장 라디오 개인과 사회의 기여도 55
(6) 부평깡통시장 라디오 방송국의 위기와 기회 57
(7) 부평깡통시장 라디오, BIFF 브랜드와 연합하다 58
(8) 부평깡통시장 라디오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지원의 필요성 60
나. 부평깡통시장 라디오의 효과성 63
3. 관련 전문기관 및 시민단체 관계자들의 관점 65
가. 전문가가 말하는 전통시장 공동체 라디오(마을미디어) 66
나. 부산 전통시장 공동체 라디오의 현주소(마을미디어) 66
다. 부평깡통시장 공동체 라디오의 의미 68
라. 전통시장 공동체라디오(마을미디어)의 방향성 69
마. 부평깡통시장 공동체 라디오와 전통시장 공동체 라디오에 대한 바람 72
5. 결론 및 논의 75
1. 타 지역 사례조사를 통한 적용 가이드라인 제언 75
2. 부평깡통시장 라디오에 대한 관계자들의 성공적 운영 방안 77
3. 시사점 및 논의 80
참고문헌 8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