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준비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 사회비교 경향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 Alternative Title
- The Effect of Evaluating Perfectionism on Job insecurity for Job seekers: The Intermediation Effect of Social Comparison Trends and Non-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y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준비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비교 경향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P, S, G, D시 등의 지역에 소재한 취업준비생 325명을 대상으로 8월 11일부터 8월 25일까지 2주간에 걸쳐 평가염려 완벽주의, 취업불안, 사회비교 경향성,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1.0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Hayes(2013)가 제안한 매개모형의 절차에 따라 경로를 분석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취업준비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사회비교 경향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취업불안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사회비교 경향성을 매개로 취업불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매개로 취업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사회비교 경향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순차적 매개하여 취업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취업불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역할과 기능을 살펴보았다. 또한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의 구체적인 경로를 발견하고, 사회비교 경향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상담치료 과정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the mediated effect of inappropriat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y in the evaluation perfectionism and job insecurity of job seekers.
The research subjects surveyed 325 job seekers located in areas such as P, S, G, and D for two weeks from August 11 to August 25 on the assessment perfectionism, job insecurity, social comparison tendencies, and strategies for inappropriate cognitive and emotional control. Correlat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evance between the variables using SPSS 21.0, and the path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e model proposed by Hayes (2013) to confirm the mediated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the evaluation perfectionism of job seekers, the tendency of social comparison, and the strategy of non-adaptive cognitive emotional adjustment are correlated with job insecurity. Second, it was found that evaluation-related perfectionism does not affect job insecurity through the medium of social comparison tendency. Third, evaluation-related perfectionism has been shown to affect job insecurity through inappropriate cognitive and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Fourth, evaluation-related perfectionism has been shown to influence job insecurity by mediating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maladjusted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y sequential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looked at the roles and functions of evaluation-related perfectionism on job insecurity.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specific path to the impact of evaluation-related perfectionism on job insecurity through sequential mediated effectiveness verification, and that social comparison tendencies and non-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counseling treatment process.
Finally, the suggestion and significance of the limitations and subsequent studie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Author(s)
- 정금주
- Issued Date
- 2021
- Awarded Date
- 2021.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취업준비생 평가염려완벽주의 취업불안 사회비교경향성 부적응적 인지적정서조절전략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96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74965
- Alternative Author(s)
- Geum Joo Jung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교육컨설팅학과
- Advisor
- 천성문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가설 6
3.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10
1. 평가염려 완벽주의 10
2. 취업불안 15
3. 사회비교 경향성 18
4.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20
5. 변인들간의 관계 22
Ⅲ. 방 법 29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9
2. 측정도구 30
3. 자료분석 34
IV. 결 과 37
1. 주요변인들의 기술통계 37
2. 주요변인들 간에 상관분석 38
3. 회귀분석 40
4. 경로분석 및 간접효과 검증 43
V. 논 의 47
참고문헌 54
Abstract 68
부록 70
1. 평가염려 완벽주의 척도 70
2. 취업불안 척도 74
3. 사회비교 경향성 척도 76
4.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척도 7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교육컨설팅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