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드라마 시청동기가 호감도를 매개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Alternative Title
- 한국드라마 시청동기가 호감도를 매개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인의 화장품을 중심으로
- Abstract
- The Korea wave which started with Korean singers entering China in the 1990s, has been growing at a rapid pace until recently. Accordingly, dramas, songs, cosmetics, and foods are becoming popular in China. Chinese people are very interested in Korean culture in general. Korean dramas and K-POPs were the most influential in the early stages of popular culture. As a result, Korean cultural products began to stand out in China. China`s interest in Korean culture has been around for a long time and the heat has not cooled.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atch motivation of Korean drama and purchase intention of cosmetics. The motivation factors for Korean drama viewing were divided into cultural curiosity, drama attractiveness, cultural similarity, relational factors, and viewing habi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s basic statistics and Smart PLS 2.0 (Partial Least Squared) using structural equati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tive for watching Korean dramas (cultural curiosity, drama attractiveness, cultural similarity, relational factors, and viewing habits ) had a significant effect on Korean attractiveness. Hypothesis H1 was all adopted. Second, Korean attractiv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cosmetics. Hypothesis H2 was adopted. In order to purchase Korean product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se Korean attractiveness.
- Author(s)
- LIU YUANYUAN
- Issued Date
- 2020
- Awarded Date
- 2020.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한국 드라마 시청동기 호감도 구매의도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981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92320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경영학과
- Advisor
- 김하균
-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과 연구의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3
제 2 장 이론적 배경 4
제 1 절 드라마 시청동기 4
1. 한국드라마의 시청동기의 정의 4
2. 한국 드라마 시청동기의 특성 7
3. 한국 드라마 시청동기에 관한 선행연구 8
제 2 절 한국 호감도 9
1. 한국 호감도의 정의 9
2. 한국 호감도에 관한 선행연구 10
제 3 절 한국 화장품 구매의도 13
1. 구매의도의 정의 13
2. 구매의도의 구성요소 15
3. 화장품 구매의도에 관한 선행연구 16
4. 시청동기와 한국 호감도의 관계 17
5. 한국 호감도와 화장품 구매의도의 관계 17
제 3 장 연구의 방법 19
제 1 절 연구모형 및 가설 19
1. 연구 모형 19
제 2 절 연구 가설 20
1. 중국인의 한국 드라마 시청동기와 한국 호감도에 관한 가설 20
2. 한국 호감도와 화장품 구매의도에 관한 가설 20
제 3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21
1. 드라마 시청동기 21
2. 한국 호감도 22
3. 한국 화장품 구매의도 23
4. 연구통계학적 및 시청동기별 특성에 관한 항목 23
5. 설문문항 24
제 4 절 표본과 통계분석 방법 25
1. 표본 25
2. 분석 방법 25
제 4 장 실증분석 27
제 1 절 표본의 특성 27
제 2 절 자료의 분석 방법 28
제 3 절 신뢰성 타당성 상관관계 분석 29
1. 신뢰성 분석 29
2. 타당성 분석 29
3. 상관관계 분석 31
제 4 절 구조 모형의 검정 33
1. 연구모형의 적합도 분석 34
2. 가설 검증 35
3. 가설 검증결과 36
제 5 장 결 론 38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38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39
참 고 문 헌 41
설 문 지 4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경영대학원 > 경영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