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Dual-wavelength-assisted photocoagulation effects for hemostasis of benign prostate hyperplasia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전립선 비대증은 전립선의 비대로 인한 요로의 막힘에 의해 소변량의 감소 및 전립선의 간질 세포나 상피 세포의 증가를 포함하는 비뇨기과 질병이다. 비대해진 전립선은 요도 폐색, 요실금, 잦은 배뇨, 배뇨 장애, 야뇨증의 원인이 된다. 전립선 비대증 치료를 위한 다양한 저 침습 수술 중 레이저 전립선 절제술은 빠른 증상 완화와 낮은 부작용 발생으로 효율성을 인정을 받고 있다. 다양한 파장대의 레이저가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 조직의 제거나 응고(980, 1064 nm), 증발(532 nm), 적출(1470, 2000, 2120 nm)등과 같이 제공되는 파장에 따라서 다양한 수술적 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 그리고 532 nm 레이저는 높은 광 흡수율과 효과적인 전립선 조직 제거로 임상에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큰 조직을 제거 할 경우 동맥이나 정맥의 출혈로 인하여, 방광경 촬영 시 수술자의 시야에 영향을 주며 그로 인해 수술 시간에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레이저 전립선 절제술을(532 nm) 이용해서 큰 조직을 제거하는 경우 높은 에너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수술 도중 출혈이 발생하는 확률은 10 % 다다른다. 게다가 혈관 계통에 높은 흡수율을 가진 532 nm파장대의 레이저는 광침투 깊이가 짧기 때문에, 깊은 광침투력을 가진980 nm 파장의 레이저는 보다 깊은 곳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효과적으로 제어 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레이저 전립선 절제를 위해 두 가지 파장의 레이저를(980,532 nm) 결합하여 광응고 효과의 개선과 그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두 가지 파장을 이용한 지혈 효과 및 광 반응의 생체 외 조직 실험과 생체 내 실험을 통해 광응고 효과 및 지혈 효과를 각각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다파장 레이저를 이용한 전립선 비대증 치료는 출혈을 효과적으로 지혈 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Author(s)
황지은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3996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181239
Alternative Author(s)
Jieun Hwa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의생명기계전기융합공학협동과정
Advisor
강현욱
Table Of Contents
1. Introduction 1
1.1.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1
1.1. Overview of photothermal therapy for BPH 1
1.1. Overview of hemostasis effect using laser 3
2. photocoagulation effects for ex vivo thermal hemostasis 5
2.1. Purpose 5
2.2. Materials and Methods 5
2.2.1. Kidney tissue preparation 5
2.2.2. Ex vivo kidney tissue testing 6
2.2.3. Perfused bleeding tissue phantom prreparation 8
2.2.4. Perfused tissue phantom testing 9
2.2.5 Statistical analysis 10
2.3. Results and Disccusion 12
2.3.1. Thermal coagulation in kidney tissue 12
2.3.2. Thermal coagulation on perfused skin phantom 14
2.3.3. Numerical simulations of temperature distribution in kidney tissue 16
3. Hemostatic effects depending on the urological tissue and blood vessels in in vivo 23
3.1. Purpose 23
3.2. Dual mode device design 23
3.3. Hemostatic effect of dual-wavelength laser through intentional bleeding in urological tissue 25
3.3.1. Bleeding model of kidney 25
3.3.2. in vivo photocoagulation effects on bleeding model 25
3.3.3. Statistical analysis 27
3.4. Results and Discussion (Urological tissue) 30
3.4.1. Photocoagulatin effects in kidney tissue 30
3.4.2. Histological analysis 32
3.5. Hemostatic effect of dual-wavelength laser according to blood pressure in ear tissue 34
3.5.1. Bleeding model of ear 34
3.5.2. in vivo photocoagulation effects on bleeding model 34
3.6. Results and Discussion (Ear tissue) 38
3.6.1. Photocoagulation effects in ear 38
3.6.2. Histological analysis 39
4. Discussion 43
5. Conclusion 46
6. References 47
Acknowledgements 49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의생명기계전기융합공학협동과정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