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Population Ecology of John dory, Zeus faber,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한국 연안에 서식하는 달고기의 자원생태학적 연구
Abstract
달고기과 어류는 전 세계적으로 2속 6종이 보고되고 있고, 대서양, 인도양 태평양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에는 단 두 종만 (Zeus faber, Zenopsis nebulosa) 보고되었다. 두 종은 주로 50-100 m 사이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지만, 어린 개체들의 경우에는 연안의 얕은 수심대에서 서식하기도 한다. 달고기와 민달고기의 체형은 타원형으로 매우 측편으로 되어있고, 체고는 높으며, 주둥이의 모양, 체색, 큰 둥근 흑색 반점의 유무 등으로 쉽게 동정할 수 있다.
두 어종 중 식용으로 많이 이용되는 어종은 달고기이며, 상업적으로 중요한 가치가 있는 어류이다. 달고기는 일본에서 고급어종으로 소비되고 있으며 동중국해 지역에서 200-300 t의 많은 양이 어획된다. 한국에서는 2018년에 열린 남북정상회담에서 달고기가 만찬의 요리로 이용되면서 수요가 증가하고 지속적으로 수산자원으로서의 가치가 증가하고 있지만, 현재 어획량의 통계자료는 전무한 실정이다. 지속적인 자원관리와 회복을 위해서라도 이들에 대한 명확한 어획량 기록과 생태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달고기의 생태학적 연구는 많은 표본 개체와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해 주요 상업어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달고기 어류를 대상으로 생물학적 특징, 연령과 성장, 성숙과 산란, 그리고 섭이 특성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2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상업적 트롤 네트를 이용하여, 총 838마리를 채집하였다. 암컷은 593마리, 수컷은 245마리로 암컷이 수컷보다 많았다. 암컷의 평균체장은 34.85±4.44 cm, 평균체중은 723.51±299.31g, 수컷의 평균체장은 31.17±299.31 cm, 평균체중은 512.34±195.29 g로 나타나며, 암컷이 수컷보다 더 큰 최대체장을 보였고, 40 cm 이상의 개체들은 모두 암컷이었다. 상대 성장식은 암컷: BW=〖0.0212TL〗^2.9248, 수컷: BW=〖0.019TL〗^2.9548로 추정되었고, 암∙수 간의 차이가 있었다.
달고기의 연령과 성장에 대한 연구는 일본, 터키, 영국에서 진행되었지만, 국내에는 전무한 실정이다. 달고기의 이석은 모양이 불규칙하고 윤문의 대응성이 맞지 않아 연령을 판별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이전연구에서는 7번 척추골을 이용하여 달고기의 연령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7번 척추골을 이용하여 연령 판독과 성장식을 추정하였다. 7번 척추골은 투명한 륜과 불투명한 륜이 명확하게 구분되었으며, 체장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척추골의 지름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여, 연령을 판독하는데 적합한 형질이라 판단되어졌다. Marginal increment index (MI)를 통해 성장륜이 1년에 한 번 겨울에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달고기의 최대 연령은 암컷 14세, 수컷 8세로 추정되었다. 달고기의 본 버틀란피 성장식은 암컷: L_t=50.13(1-e^(-0.17(t+0.36) )), 수컷: L_t=40.97(1-e^(-2.56(t+0.57) ))으로 추정되었다. 암∙수간의 성장 매개변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달고기의 생식소를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여 성숙정도를 5단계로 구분하는 기준을 만들고, 달고기의 생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생식소는 나비 모양이었으며, 성숙할수록 생식소는 비대해졌다. 또한, 알이 명확하게 보였으며, 핏줄이 뚜렷해졌다. 성숙한 생식소에서는 비동시적 난모세포의 발달이 보였으며, 난모세포의 단계 및 난경이 모두 달랐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달고기가 다회산란 어종임을 알 수 있었다. 산란기는 11월부터 5월까지이고, 주 산란기는 1월부터 3월로 나타났으며, 군성숙 체장은 30.8 cm (age 5)로 추정되었다.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알의 수도 많아지며, 완숙한 생식소의 알 수는 42,215-336,986개로 추정되었다.
달고기의 위내용물을 종수준까지 동정하였으며, 어류, 갑각류, 두족류 순으로 많이 섭이 하였다. 달고기의 먹이생물 중 어류는 82.8%로 높은 %IRI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달고기는 어류를 주로 섭이하는 어식성 어종임을 알 수 있었다. 주로 갈치와 전갱이는 모든 체장과 계절에서 섭이되는 주요 먹이로 보이며, 갑각류 중 북쪽분홍새우는 17.5% (%IRI)나 섭이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이전 연구에서 14 cm 이상의 개체들은 어류만 섭이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지만, 다른 연구에서는 먹이 전환이 되는 시기를 명확하게 알 수 없으며, 어린 개체일 때 섭이했던 갑각류를 성어가 되어서도 지속적으로 섭이하는 것으로 보고했으며, 본 연구는 후자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38 cm 이상의 개체들에서 기름가자미가 자주 출현하였고, 체장이 커질수록 더 깊은 수심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생활사에 따라 달고기의 섭이 강도가 달라 질 것으로 예상하여, 성비, 크기, 계절에 따른 섭이 강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암컷이 수컷보다 더 높은 섭이강도를 보였고, 산란기간인 봄과 겨울에 더 높은 강도를 보였다. 따라서, 달고기의 섭이는 생활사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된다.
Author(s)
김한주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023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24240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의생명기계전기융합공학협동과정
Advisor
오철웅
Table Of Contents
Ⅰ. Introduction 1
Ⅱ. Material and methods 4
2.1. Sample collection 4
2.2. Biological data 6
2.3. Age and growth 7
2.4. Maturation 10
2.5. Feeding habits 12
Ⅲ. Results 15
3.1. Biological characteristics 15
3.1.1. Sex ratio and population structure 15
3.1.2. Length-weight relationship 19
3.2. Age and growth 21
3.2.1. Age 21
3.2.2. Growth parameters 27
3.3. Maturation 31
3.3.1. Development stages of gonad 31
3.3.2. Annual reproductive cycle 36
3.3.3. Size-frequency distribution of oocyte 39
3.3.4. Length at sexual maturity 41
3.3.5. Fecundity 44
3.4. Feeding habits 46
3.4.1. Diet composition 46
3.4.2. Difference in diet by size class 49
3.4.3. Difference in diet by season 53
3.4.4. Tropical diversity and dietary niche overlap 57
3.4.5. Effects of sex, size class, and season on feeding intensity 60
Ⅳ. Discussion 62
4.1. Biological characteristics 62
4.2. Age and growth 63
4.3. Maturation 67
4.4. Feeding habits 70
Ⅴ. General discussion 75
Ⅵ. References 78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의생명기계전기융합공학협동과정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