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 결맞음 단층촬영을 이용한 근골격계 및 신경계 질환 진단의 전 임상 실험
- Alternative Title
- Feasibility study of the animal model with Muscluoskeletal and neural injury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 Abstract
- 본 연구는 마이켈슨 간섭계를 기본으로한 광 결맞음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다양한 근골격계 손상 및 신경 손상 모델에서 손상정도와 회복 단계의 진단용으로 유용한 기법인지 평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신경 및 결제조직 손상 동물모델을 개발하여 그 경과 과정을 정밀 관찰하였다.
동물모델로는 아킬레스 힘줄 손상 쥐, 림프 부종 쥐꼬리, 말초신경 손상 토끼 이다. 아킬레스 힘줄 손상 및 말초 신경 손상 동물 모델에서 수상 후 7일 간격으로 회복 과정을 추적 관찰하였고 수상 2주후부터 회복과정이 종료되는 모습을 보였다. 림프부종 모델에서는 시간에 따라서 림프부종이 쥐꼬리에서 진행하여 악화되는 과정을 추적 관찰할 수 있었다. 조직 손상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현미경을 이용하여 각 시기별로 조직학적 분석을 시행하였고 신경 손상모델에서는 근전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근골격계 손상 및 림프 부종의 예후를 자세히 관찰하기 위하여 광 결맞음 단층촬영기법의 접근을 다양화 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최신 개발되고 있는 다양한 치료법을 이용한 치료효과를 평가하는 모델의 개발 등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Author(s)
- 김동규
- Issued Date
- 2019
- Awarded Date
- 2019.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musculoskeletal diseas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neuropathy animal study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027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21465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바이오메디컬공학과
- Advisor
- 안예찬
-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 론 1
1.1연구의 필요성 1
1.2연구 목적 및 내용 1
제 2장 실험 장치 8
2.1광 결맞음 단층촬영 원리 8
2.2샘플단(SampleArm) 9
2.3참조단(ReferenceArm) 9
2.4광원(LaserSource) 9
2.5분광기(Spectrometer) 10
2.5.1 격자(Grating) 10
2.5.2 라인 스캔 카메라 10
2.5.3 분광기 보정기기 11
제 3장 흰쥐 아킬레스 힘줄 손상 모델 및 광 결맞음 촬영 분석 12
3.1 아킬레스 손상 동물모델 실험절차 12
3.2 광 결맞음 촬영 분석 결과 분석 13
제 4장 토끼 신경 손상 모델 및 광 결맞음 단층 촬영 분석 15
4.1 신경손상 동물 모델 및 실험 절차 15
4.2 광 결맞음 촬영 분석 결과 분석 16
4.3 신경전도 검사 분석 17
제 5장 임파부종 쥐꼬리 모델 및 광 결맞음 촬영 분석 19
5.1 임파부종 동물 모델 및 실험 절차 19
5.2 광 결맞음 촬영 분석 결과 분석 20
제 6장 결론 22
참고문헌 33
그림과 표 45
Abstract 61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바이오메디컬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