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Distribution Structure of Fishery Products in Myanmar
- Alternative Title
- 미얀마의 수산물 유통구조에 대한 분석
- Abstract
- 본 논문은 미얀마의 국내 총생산 (GDP), 동물성 단백질 소비, 고용 및 해양 수산 영역 및 지방 정부 수입의 현황을 살펴본다. 미얀마 수산업의 물리적 환경 조건은 Rakhine, Ayarwady, Yangon, Mon, Tininyaryi의 5개 어업 지역으로 구성된다. 이들 지역은 인구 밀도가 높고 운송 시스템이 발전하여 미얀마 수산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얀마 수산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수산물 가공 과정 및 상품 무역 확대 방안을 분석해 보는데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이들 어업분야의 외국인 투자와 국내 투자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그리고 미얀마 어업분야의 수출 성과는 어떠한 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 본 연구는 미얀마 수산물 수출의 상대 효율성을 평가해 보고자 2000년부터 2018년까지의 시계열 데이터를 사용하여 선형회귀 분석을 실시한다. 분석 결과, 미얀마의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미얀마의 수산물 수출 수준이 여전히 낮음으로 수산물 수출의 확대 정책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Author(s)
- THET PAING OO
- Issued Date
- 2020
- Awarded Date
- 2020.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033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94210
- Alternative Author(s)
- 탰빠잉우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자원환경경제학과
- Advisor
- 윤형모
- Table Of Contents
- Ⅰ.Introduction 1
Ⅱ.General Status of Fishery Industry 3
1.Fisheries Production 3
2.Small Scale Processing 10
3.Cold Storage in Myanmar 11
4.Myanmar Fisheries Laws 18
5.Act for Permission Regarding Foreign Fishing Vessels 24
Ⅲ.Fisheries Domestic Distribution and Export Status 30
1.Foreign Investment in Myanmar Fisheries (Since 1988) 30
2.Examples of foreign company investors in (marine) aquaculture 36
3.Distribution Structure 37
4.Changes in Fish Price by Region 41
5.Marketing 45
6.Export 51
7.Problems and Solutions for Distribution of Fisheries (Myanmar) 57
Ⅳ.Conclusion 59
References 61
Online Sources 63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자원환경경제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