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Development of dermal filler using cartilage extracellular matrix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연골 세포외기질을 이용한 성형용 필러 개발
Abstract
피부의 노화로 인해 콜라겐이 감소하여 진피층이 얇아져 탄력이 저하되고 주름이 생성된다. 이러한 주름들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자 성형용 필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이상적인 필러란 생체적합하고 면역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며 오래 지속되고 독성 없이 생체에서 분해되어야 한다. 히알루론산 필러가 가장 널리 사용되지만 세포외기질과 비교하여 지속 기간이 짧고 기계적 강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연골의 세포외기질은 제2형 콜라겐과 글리코사미노글리칸, 프로테오글리칸 그리고 당단백질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압축 응력에 대한 높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돼지 연골 세포외기질이 기존 히알루론산 필러의 빠른 분해도를 극복하고 생체 이식 후에 인가되는 물리적 자극에 잘 견디는 개선된 성형용 필러로서의 사용 가능 여부를 실험하기 위하여 미세구조, 기계적 성질 그리고 생체 적합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Author(s)
김나현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2
Type
Dissertation
Keyword
ECM Extracellular matrix dermal filler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040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90977
Alternative Author(s)
Nahyeon Kim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의생명기계전기융합공학협동과정
Advisor
박상혁
Table Of Contents
1. Introduction 1
1.1. Skin anatomy 1
1.2. Dermal filler 4
1.3. Extracellular matrix (ECM) 6
1.4. Articular cartilage extracellular matrix (CAM) 10
1.5. Goal of this study 15
2. Materials and methods 16
2.1. Materials 16
2.1.1. Fabrication of HA hydrogel 16
2.1.2. Fabrication of CAM hydrogel 17
2.2. Morphological analysis of hydrogel 20
2.3. Rheometer measurement 21
2.4. Cytotoxicity evaluation 23
2.5. Cell proliferation 24
2.6. Statistical analysis 25
3. Results 26
3.1. Microstructure 26
3.2. Optimization of storage modulus 28
3.3. Cell cytotoxicity 30
3.4. Cell proliferation 32
4. Discussion 34
5. Conclusion 37
6. References 3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의생명기계전기융합공학협동과정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