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한국과 베트남의 유교 문화적 동질성에 관한 고찰

Metadata Downloads
Abstract
과거에는 우리의 삶은 관혼상제(冠婚喪祭)속에서 살아왔다고 하여도 무리가 아닐 정도로 이 네 가지 의례는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고, 특히 죽음과 관련된 상례와 제례는 우리의 일상생활 그 자체였다. 인간이 동물의 생활과 다른 점은 윤리, 도덕적 행위에 따라 인간의 예의범절을 지키는 일이고, 한 평생을 살아가면서 중요한 의미가 있는 날을 맞아 행하여지는 갖가지의 일상적 통과 예식들은 어느 집단공동체나, 개인에게 의미를 부여하고 시행되어 오기 마련이다. 베트남 국민들 또한 이와 같은 통과 의례를 중요시하는 삶을 살아왔다.
북부 베트남은 약 일천년(B.C 111-A.D 938)에 걸쳐 중국의 영향권에 있었고 이때 중국의 유교(儒敎) 문화가 베트남 사람들의 일상적인 삶속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하여 국가의 일반적 생활 의례를 담고 있는 추레(Chu Le-朱禮), 응히레(Nghi Le-儀禮), 레키(Le Ky-禮記) 3권의 책으로 후대에 이르러 베트남 상류 사회의 선비들이 일반 백성을 위한 예의범절에 관한 책으로 편찬되었는데, 주요한 4가지 분야가 관(Quan-冠), 혼(Hon-婚), 상(Tang-喪), 제(Te-祭)에 관한 것이었다.
글로벌 시대를 지향하는 요즈음 각 국가의 전통 문화가 소멸하거나 간편화되어 그 나라의 독특한 전통문화가 사라져 가고 있지만, 베트남에서 는 이러한 일상적 통과 의례를 통하여 들어낸 희비애락을 중심으로 베트남인들의 일상적인 삶과 생각의 일부를 이해할 수 있으리라 판단되어, 관(Quan-冠), 혼(Hon-婚), 상(Tang-喪), 제(Te-祭)에 관한 의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한국과 베트남 관혼상제 문화에 관한 비교 연구를 통한 공통점을 찾아내어 양국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문화적 의의를 제시하고자하며 한국-베트남 국민들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긍정적인 공감대를 극대화하는데 기여하기를 바라며 특히 이 논문이 결혼이주 베트남 여성들, 베트남 유학생 그리고 한국의 베트남 노동자들, 나아가 베트남에서 살고 있는 한국 교민들에게 문화적 공감대가 널리 알려져 더욱 편안하고 보람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본 논문은 제Ⅰ장 서론에 이어 제Ⅱ장에서 한국과 베트남의 관혼상제 역사적 배경과 특성을 비교하고, 제Ⅲ장에서 한국과 베트남의 관혼상제 의례의 내용을 비교하며, 제Ⅳ장에서는 한국과 베트남의 관혼상제의 문화적 의의를 제시하고, 제Ⅴ장에서 결론을 내린다.
Author(s)
이상진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2
Type
Dissertation
Keyword
관혼상제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06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65973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Advisor
곽진석
Table Of Contents
제Ⅰ장 서론 1
제1절 연구 목적 1
제2절 연구 범위 5
제3절 연구방법 7
제Ⅱ장 한국과 베트남의 관혼상제의 역사적 배경과 특성 10
제1절 한국 관혼상제의 역사적 배경과 특성 10
제2절 베트남 관혼상제의 역사적 배경과 특성 11
제Ⅲ장 한국과 베트남 관혼상제 의례의 내용 15
제1절 관(冠) 15
가. 한국의 관례(冠禮) 문화 15
나. 베트남의 관례(冠禮) 문화 18
제2절 혼(婚) 24
가. 한국의 혼례(婚禮) 문화 24
나. 베트남의 혼례(婚禮) 문화 31
제3절 상(喪) 45
가. 한국의 상례(喪禮) 문화 45
나. 베트남의 상례(喪禮) 문화 55
제4절 제(祭) 69
가. 한국의 제례(祭禮) 문화 69
나. 베트남의 제례(祭禮) 문화 75
제Ⅳ장 한국과 베트남 관혼상제의 문화적 의의 81
제Ⅴ장 결 론 88
[부록 1] 참고문헌 92
[부록 2] Abstract 9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