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gaseous pollutant emission calculation of small industrial complex using mobile ORS(optical remote sensing)
- Alternative Title
- 이동식 ORS(optical remote sensing)를 이용한 소규모 산업단지의 가스상 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 Abstract
- 국가측정망을 이용해 산업단지의 대기오염물질이 관측되고 있지만, 점 농도만 알 수 있다는 점과 측정 물질이 다양하지 않다는 한계점이 있다. 현재의 관측 방식의 문제점을 가스상 오염물질(SO2, NO2, HCHO, Alkane, BTEX, CH4 등)의 농도와 배출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를 차량에 설치한 이동형 광학측정장비로 보완할 수 있다. 이동형 관측 차량에는 FTIR과 DOAS 분석법을 각각 적용하여 대기오염물질의 칼럼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2개의 원격탐사 장비와 지점 농도를 측정하는 2개의 In-situ 장비를 구비하고 있어 부지경계선 모니터링에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신평·장림 공단에서 두 구역의 관측 경로를 설정하여 이동형 차량으로 2020년 11월 3일부터 16일까지 관측을 수행하였다. 관측 기간 중 구역별로 각각 8일, 9일의 관측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관측 결과 분석으로 산출된 평균 배출량은 A 구역의 경우 Alkane 65kg/h, SO2 66kg/h, NO2 25.5 kg/h, HCHO 35kg/h, B구역은 Alkane 84.1kg/h, SO2 31.4kg/h, NO2 66.3kg/h, HCHO 10 kg/h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확산모델을 적용해 본 결과 공단의 오염물질이 주거지역으로 확산이 되고, 그 농도가 대기환경기준 이상이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산업단지 인근의 주민들은 다른 지역 주민들보다 높은 농도의 대기오염물질에 노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간당 배출량을 연간 배출량으로 환산하여 공개되는 국가대기배출량과 비교해 본 결과 A구역은 약 21배 B구역은 약 5배 많은 관측값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동형 광학측정장비가 기존 대기 관측망을 보완하고 고농도 배출지점 파악에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Author(s)
- 심주현
- Issued Date
- 2022
- Awarded Date
- 2022.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083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5294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공학전공
- Advisor
- 노영민
-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1
Ⅱ. Research method 4
2. 1. mobile lab 4
2. 1. 1. SOF (Solar occultation flux) 7
2. 1. 2. SkyDOAS (Sky 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meter) 9
2. 1. 3. MeFTIR, (Mobile extraction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ry) 10
2.1.4. MeDOAS, (Mobile extraction 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 11
2.1.5 wind direction anemometer 15
2.2. Data analysis by Fluxreoprt / Estimate emission by Origin 17
2.3. Observation Area - Sinpyeong·jangrim in Busan 20
2.4. PRTR, CAPSS data analysis 22
2.4.1. PRTR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s) 22
2.4.2. CAPSS (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24
2.4.3. Comparison method 24
2.5. diffusion model 25
Ⅲ. Results and Discussion 26
3.1. Observed flux tables and graphs 26
3.2. Emission Source Estimation 31
3.2.1. Zone A Alkanes 31
3.2.2. SO2, NO2, HCHO in Zone A 35
3.2.2. CH4 in Zone A 44
3.2.4. Zone A Overall Results 47
3.2.5. Alkane in Zone B 50
3.2.6. SO2, NO2, HCHO in Zone B 55
3.2.7. CH4 in Zone B 64
3.2.8. Zone B Overall Results 68
3.3. Compare with PRTR and CAPSS data 69
3.3.1. PRTR 69
3.3.2. CAPSS 71
3.4. Results of application of diffusion model 74
Ⅳ. Conclusion 80
4.1. thesis summary 80
4.2. follow-up research 81
References 82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공학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