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한, 중 대학생 이모티콘 이용 동기 및 만족도 비교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Comparative Study on Motives and Satisfaction Using University Student Emoticons in Korea and China
Abstract
As the digital background progresses, various communication styles are developing, especially the appearance of emoticons. Emoticons are widely used as a non-verbal means of communica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combining the linguistic means of communication called text that are responsible for most communication activities. In this study, we apply the theory of utilization and fulfillment, which is the representative theory of communication acceptance, to the field of emoticon utilization to find out what motivates the use of a college student emoticon,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utilization, usage behavior, and satisfaction among groups, and how some variables affect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a prior study, we will set it as a demographic variable of nationality and gender to see what motivation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have to use i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ir use, behavior and satisfaction, and how they have influenced each variable's satisfaction. Therefor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Author(s)
LIANG ZIZHAO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이모티콘 이모티콘 만족도 이모티콘 이용 동기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12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74712
Alternative Author(s)
LIANG ZIZHAO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Advisor
김용호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6

Ⅱ. 이론적 배경 8
1. 이모티콘의 도입배경 8
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발전현황 검토 8
나.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선행연구 검토 15
2. 이모티콘의 기능 및 역할 18
가. 이모티콘 역사적 전개 18
나. 이모티콘의 정의 26
다. 이모티콘 관련 선행연구 28
3. 이모티콘 이용 동기와 만족도 관한 선행연구 31
가. 이모티콘 이용 동기에 관한 선행연구 31
나. 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 33

III.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35
1. 연구문제 35
2. 연구방법 36
가. 연구대상 36
나. 변인의 측정 37
(1) 이용 동기 측정 38
(2) 이용행태 측정 40
(3) 만족도 40

IV. 연구결과 42
1. 기초통계 42
가.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2
나.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3
(1) 이모티콘 이용 기간(년수) 43
(2) 하루 중 이모티콘을 평균적으로 사용하는 횟수 44
(3) 이모티콘 이용하는 채널 45
(4) 이모티콘 이용만족도 45
2. 연구문제별 분석결과 46
가. 연구문제별 분석결과 46
나. 의 분석결과 50
다. 의 분석결과 53

V. 결론 56
1.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56
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59

참고문헌 61

부록 66
설문지 6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