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LC-MS/MS를 이용한 Febantel의 분석법 개발 및 조피볼락 약동학적 특성과 잔류시험에서의 적용
- Abstract
- 조피볼락은 국내에서 넙치와 함께 주요 해산어 양식어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 중 상당수가 아가미흡충증(원인충: Microcotyle sebastis)으로 인해 피해를 보고 있으나 조피볼락에 허가된 구충제는 Praziquantel 1종 뿐이고 그마저도 내성으로 인해 제대로 된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조피볼락의 새로운 구충제로서 Febantel을 허가하고자 본 물질 및 대사체 3종을 분석하는 분석법을 개발하고 약동학과 근육 내 잔류량을 확인하여 임시 휴약기간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기존 식품공전의 분석법은 근육 분석에는 적합하였으나, 혈청에서의 분석에 맞지 않아 추출용매와 pH가 다른 solution을 변경을 통해 response와 linearity가 가장 좋은 분석법을 개발하였으며, HPLC-MS/MS의 MRM 모드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혈청에 대한 약동학 파라미터를 PKsolver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non-compartment model을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prodrug인 febantel을 투여했음에도 실제 생리활성 물질인 fenbendazole과 oxfendazole이 검출되었고 가축에서도 마지막 대사체로 알려져 있는 oxfendazole sulfone도 미량이지만 조피볼락에서 검출되는 것으로 보아 어류에서도 고도의 대사체계가 충분히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된다.
근육에서는 투여 후 빠른 시간 내 체내에서 약물이 소실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사육 적수온(22±0.5 ℃)과 비교수온(13±0.5 ℃)에서 MRL 50 ng/g으로 설정하여 도출된 소실 예측일은 100 mg/kg 투여 시 적수온에서 6.47일, 비교수온에서 8.99일이 소요되었고, 200 mg/kg 투여 시 적수온에서 11.52일, 비교수온에서 12.42일이 소요되어 임시 휴약기간을 13일로 도출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febantel이 조피볼락의 새로운 구충제로 잔류 분석법 및 잔류소실의 전 임상데이터로서 활용될 뿐 아니라 구충제 개발이 필요한 다른 어종에 대해서도 허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Author(s)
- 김가원
- Issued Date
- 2022
- Awarded Date
- 2022.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123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7268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수산생명의학과
- Advisor
- 정준기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Ⅱ. 재료 및 방법 5
1. 시험어 5
2. 시약 및 시료 6
3. 실험 디자인 7
4. HPLC-MS/MS 기기분석 조건 및 이온 Screening 9
5. 내부표준물질, 표준원액 및 표준용액의 조제 11
6. 추출 및 정제 12
7. 분석법 검증 16
8. FB 단회 투여 후 약동학 파라미터 17
9. FB 연속 투여 후 근육에서의 잔류시간 측정 18
Ⅲ. 실험결과 19
1. 추출용매에 따른 감도 및 LOQ설정 19
2. 시험법 검증 22
가. 직선성 및 정량한계 22
나. 표준품의 chromatograms 25
다. 회수율 및 정밀성 28
3. 단회 경구투여 후 혈액 내 FB 및 대사물질의 약동학적 분석 29
4. 연속 경구투여 후 근육 내 FB 및 대사물질의 잔류농도 측정 31
Ⅳ. 고 찰 33
Ⅴ. 요 약 38
Ⅵ. 참고문헌 40
사 사 45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수산생명의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