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On the importance of proper choice of heat flux parameterization in regional-scale air-sea coupled model experiments: A case study of marine heat wave event induced by atmospheric heat wave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최근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해양의 온난화로 인해 다양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상 고수온 현상
은 평년 또는 임곗값보다 높은 수온이 수일에서 수주까지 지속되는 현상을 일컫는다. 특히 이상 고수
온으로 인한 피해는 어업을 포함하여 사회 전반에 막대한 피해를 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
상 고수온 현상의 경우, 수치 모델을 통한 예측을 통해 선제적인 대응이 가능하여 피해 저감이 가능
하나, 대부분의 지역규모 수치 모델에서 나타나는 해수면 온도 저온 편향 현상은 예측성을 저하시키
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해양-대기가 결합된 GloSea5 모델을 사용한 선행연구에서는 한반도 주변
해상의 해수면 온도 저온 편향의 원인으로 상향의 잠열속과 구름의 과대모의 등의 대기 영향을 지목
한 바 있다. 본 연구는 해수면 온도 저온 편향을 해결하기 위해 북태평양 고기압과 티벳 고기압이 평
년에 비해 강하게 발달하며 대기 영향이 우세했던 1994년과 2018년의 고수온 사례를 해양-대기 결합
모델인 COAWST 모델을 통해 재현했다. WRF에 탑재된 기본 열속 모수화 방안인 ‘Revised MM5 scheme’
의 하향 잠열속 제한을 허용한 ‘CPL_down’과 허용하지 않은 ‘CPL_nodown’ 두 실험을 설정하였다. 결
과적으로 두 사례 모두 재현 초기 10여 일까지 온난다습한 기단의 영향으로 안정된 대기 상태를 나타
내며 하향의 열속을 모의했고 하향 잠열속의 제한을 해제함에 따라 재현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했다.
재현 성능 향상 원인을 조사해 본 결과, 하향의 잠열속 즉, 음의 증발량에 의해 하층 운량이 감소함
에 따라 단파 복사가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재분석자료와 비교한 결과, 모델이 한반도 주변 해상에
서 하층의 운량을 과도하게 모의함을 확인하였으며 폭염 사례 재현 시에 수치 모델에서 하향의 잠열
속을 허용하는 것이 하층 운량의 과대모의를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
수온 모의 시에 반드시 하향의 잠열속을 허용해야 하며 신중하게 표층 물리 모수화의 선정해야 함을
시사한다.
Author(s)
정택범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 2
Type
Dissertation
Keyword
heat flux marine heatwave air-sea interac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148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7080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대기과학전공
Advisor
김백민
Table Of Contents
Ⅰ. Introduction 1
Ⅱ. Data and method 3
1. Reanalysis Data 3
2. Modeling 4
2.1. Case Selection 5
2.2. Experimental Design 8
3. Method 13
Ⅲ. Results 15
1. Modeling Results 15
2. Heating mechanism by downward latent heat 18
3. 2018 CASE 22
4. Low Level Cloud 27
Ⅳ. Summary and Discussion 32
Reference 3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대기과학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