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시험성적서에 대한 기업의 인식과 활용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bstract
- In the past, the role of testing and certification was simply to safeguard procedures related to consumer or product delivery. However, i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a complement to not only ensuring the safety of products, but also as new technologies are continually introduced to the market to enable them to make the right deci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orporate perception and use of test reports on corporate performance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effects of test reports of accredited testing institutes on corporate performance. Specifically, it analyzes how the company's perception of the first accredited testing laboratory's test report affects the company's performance. Second, we want to see how the test report affects the company's performanc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ults by collecting data based on a survey on companies using the Korea Marine Equipment Research Institute. As a result,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had a greater effect on the company's perception of the inspection report than the company's use of the inspection report. This means that the awareness of the test report is high, but the utilization of the test report is low. In this regard, testing and certification bodies should seek ways to utilize them through related consulting and support projects. Because the subject of the study is limited, it cannot be regarded as a generalized result.
- Author(s)
- 김아람
- Issued Date
- 2022
- Awarded Date
- 2022.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221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0742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Department
-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기술경영학과
- Advisor
- 손재학
-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방법 및 구성 3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4
1. 국외 시험인증제도 4
가. 미국 시험인증제도 4
나. 유럽 시험인증제도 6
다. 중국 시험인증제도 8
2. 국내 시험인증제도 10
가. 시험인증제도 현황 10
나. 시험인증제도의 중요성 14
3. 선행연구검토 16
가. 시험인증제도 관련 선행연구 16
나. 기업성과 관련 선행연구 18
다. 연구의 차별성 21
III. 연구의 설계 22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의 설정 22
가. 연구모형 22
나. 연구가설 24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25
가. 시험성적서에 대한 기업의 인식 25
나. 활용도 25
다. 기업성과 26
3. 조사의 자료 및 분석방법 27
가. 조사의 자료 27
나. 설문지 구성 28
다. 분석방법 30
IV. 실증분석 결과 31
1. 조사대상의 일반적 현황 31
2.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37
3. 집단 간 상관관계 분석 42
4. 가설검증 44
가. 시험성적서에 대한 기업의 인식과 기업의 성과 45
1) 시험성적서에 대한 기업의 인식과 재무적 성과 45
2) 시험성적서에 대한 기업의 인식과 비재무적 성과 46
나. 시험성적서에 대한 기업의 활용과 기업의 성과 47
1) 시험성적서에 대한 기업의 활용과 재무적 성과 47
2) 시험성적서에 대한 기업의 활용과 비재무적 성과 48
V. 결론 49
1. 연구의 요약 49
2.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50
참고 문헌 52
영문초록 54
부록 56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기술경영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