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판매·공급계약의 공시효과
- Abstract
- 본 연구는 단일판매·공급계약 공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2009년 3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판매·공급계약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3가지 주제를 연구하였다. 첫째, 단일판매·공급계약 공시의 공시효과를 분석하고, 추가적으로 계약규모별, 계약유형별, 산업별 공시효과도 분석하였다. 둘째, 내부자 거래의 행태를 확인해 내부자 정보를 이용한 불공정거래 행위가 발생하는지 확인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투자주체별 거래 행태도 분석하였다. 셋째, ESG경영활동이 단일판매·공급계약의 과잉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ESG등급에 따라 단일판매·공급계약 공시효과가 차이가 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주요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건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단일판매·공급계약 공시효과를 분석한 결과, 비정상수익률평균과 누적비정상수익률평균은 공시일 당일에 최고를 기록한 후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나 공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내부자들의 거래행태 변화를 확인한 결과 공시일 이전과 이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매수 증가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투자자 유형별로 순매수수량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나 공시일 전후 거래행태의 변화가 확인되지 않아 불공정 거래는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단일판매·공급계약 공시에서 확인된 주가 과잉반응은 기업의 ESG경영활동이 강할수록 약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는 정보비대칭성 문제의 완화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 기업의 단일판매·공급계약 공시를 이용해 공시일 전·후의 주가 흐름과 내부자의 거래행태를 확인해 주식시장에서 공정성이 유지되고 있는가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sclosure effect of a contract for sales or supply by companies listed on the KOSPI market from March 2009 to December 2020. This study comprised three essays in relation to a contract for sales or supply. Firstly, it analyzed the stock price reaction before and after the disclosure of a contract for sales or supply applying the event study methodology. Secondly, it checked whether insider trading existed before disclosure of a contract for sales or supply and analyzed additionally whether changes in trading occurred by different types of investors before and after the disclosure date. And thirdly, it tested whether the disclosure effect of a contract for sales or supply differs according to ESG activities announced by KCGS(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The main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abnormal return and the cumulative average abnormal return measured by the market model reached the highest on the disclosure date and declined after that time, which identifies a stock price overreaction.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net purchasing by insiders before and after the disclosure date. In addition, although there were changes in net purchasing volume by different types of investor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changes in trading behavior before and after the disclosure date were confirmed, so no unfair trading was identified.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reaction of stock prices confirmed in the disclosure of a contract for sales or supply was weaker as companies' ESG management activities were stronger, which seems to be a result of easing the information asymmetry proble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whether fairness is maintained in the stock market by checking the stock price trend before and after the disclosure date and the trading behavior of insiders.
- Author(s)
- 손성진
- Issued Date
- 2022
- Awarded Date
- 2022.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242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3624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경영컨설팅협동과정
- Advisor
- 김순호
-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제2절 연구의 목적 3
제3절 논문의 구성 4
제2장 단일판매·공급계약 공시의 주가 반응 6
제1절 단일판매·공급계약 공시의 의의 6
제2절 단일판매·공급계약과 공시효과 관련 선행연구 8
제3절 연구방법론 17
제4절 실증분석결과 26
제3장 단일판매·공급계약에 따른 투자자별 거래행태 54
제1절 내부자거래의 의의 54
제2절 내부자거래 관련 규정 및 선행연구 57
제3절 연구방법론 67
제4절 실증분석결과 69
제4장 ESG경영활동이 주가 과잉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92
제1절 ESG 경영활동의 의의 92
제2절 ESG 관련 선행연구 95
제3절 연구방법론 100
제4절 실증분석결과 104
제5장 결 론 113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경영컨설팅협동과정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