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스 칸 건축에서 ‘침묵과 빛’의 실존주의적 의미와 표현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Existential Meaning and Expression of ‘Silence and Light’ in Louis Kahn's Architecture
- Abstract
- 본 연구는 루이스 칸의 ‘침묵과 빛’ 관념과 ‘숭고함’ 관념을 비교 분석하여 실존주의적 의미를 파악하고 건축적 구현에 관해 고찰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 목적을 위해 루이스 칸이 남긴 글과 실존적 의미에서 숭고함을 비교 분석하고 ‘숭고함-침묵과 빛’의 표현적 특성과 존재론적 의미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실존적 의미에서 ‘숭고함’과 유사한 루이스 칸의 사상은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인 침묵과 표현의 도구인 빛의 도입으로 시작된다. 이는 1) 구조-존재를 드러냄 2)노출된 재료-본질을 드러냄 3)상대적 크기-공간 감각의 체험-를 통해 구현되었다. 달리 말해, 칸은 이러한 방법으로 ‘숭고함-침묵과 빛’이라는 건축적 관념을 피력하고 있다. 이런 세 가지 특성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첫째, 구조는 그림자를 만드는 구성요소로 빛과 어둠을 대비시켜 존재를 드러낸다. 구조는 빛의 존재를 강화한다. 이를 통해 사람들은 시간을 경험하고 감탄을 유발한다. 이것은 사건의 체험으로 숭고함을 느끼는 것과 유사하다. 둘째, 재료를 노출시켜 본질을 드러낸다. 건설과정의 흔적이나 재료가 가진 결함을 그대로 노출하고 표현하였다. 이렇게 노출된 재료는 비결정성을 가진 빛의 색과 결합해 매 순간 다른 공간을 경험하게 한다. 따라서 빛은 재료에 시간과 계절의 흐름을 담고 사람들은 이런 순간을 포착하면서 ‘감정의 고양’을 느낀다. 마지막으로 빛은 공간의 상대적 크기를 통해 공간의 감각적 체험을 극대화한다. 공간의 크기는 빛의 양을 조절하여 공간의 감각적 체험을 유발한다. 공간 크기의 변화는 사람들에게 예측하지 못한 공간을 맞닥뜨리게 하고 이것을 통해 ‘자아의 확장’을 경험하게 된다. 광의의 의미에서 이는 숭고함의 과정과 유사하다.
결론적으로, 칸의 침묵과 빛은 인간의 창조성을 일깨워주는 것, 인간의 창조적 자유의지를 자극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빛이라는 매개로 구조, 재료, 크기를 통해 건축적으로 구현되었다. 즉, 그는 표현할 수 없는 것의 존재를 표현하고자 한 아방가르드 예술가들과 마찬가지로 영원히 변화하는 빛으로 포착할 수 없는 시간을 담아 건축의 본질을 찾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근본적으로 루이스 칸의 사상과 건축적 구현은 개인주의적 표현이 아닌 근대 실존주의의 휴머니즘적 의미에서 이루어진 루이스 칸의 창조적 자유의지의 표현 결과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근대를 특징짓는 유일한 예술적 감수성인 ‘숭고함’과 더불어 실존주의 사상을 탐구하는 것은 루이스 칸의 사상과 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파악한 칸 건축이 가지는 실존주의적 의미와 표현을 넘어 기하학의 형태를 가지는 태고유형과 관련한 실존주의적 표현이 어떻게 나타나게 되었는지에 관한 연구는 다른 지면을 통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 Author(s)
- 송나은
- Issued Date
- 2022
- Awarded Date
- 2022.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실존주의 창조성 숭고함 침묵 빛 생성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254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1010
- Alternative Author(s)
- Song Na Eu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건축학과
- Advisor
- 오장환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3. 선행 연구 분석 6
Ⅱ. 시대적 배경 및 사상적 배경 8
1. ‘창조성’ 개념의 등장 8
가. 실존주의 11
나. I.칸트의 숭고함 13
2. 미국적 숭고함 18
가. 숭고함에 대한 논의 18
나. 미국의 시대 배경 19
3. J-F.리오타르의 숭고함 24
가. 숭고함의 부정적 재현 25
나. 숭고함의 사건성 26
Ⅲ. 루이스 칸의 ‘침묵과 빛’과 숭고함의 유사성 31
1. 루이스 칸 건축사상 31
가. 침묵과 빛 31
나. 빛과 감탄 35
2. 루이스 칸의 건축 사상과 숭고함의 유사성 38
가. 부정적 재현과 침묵 38
나. 사건의 체험과 빛 40
3. 숭고함의 건축적 구현 43
Ⅳ. 작품분석 46
1. 구조 – 존재의 드러냄 46
2. 노출된 재료 – 본질의 드러냄 54
3. 상대적 크기 – 공간 감각의 체험 63
Ⅴ. 결론 7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건축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