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빅카인즈로 분석한 스마트공장의 정책적 방향 트렌드 분석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정부가 스마트팩토리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차세대 국가 정책으로 선정하고 일자리 창출 및 경제 성장의 동력으로 사용하고, 스마트공장과 관련된 많은 예산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리고, 학술적인 면에서 연구한 정책적 방향으로 연구한 것이 많이 있지만, 본 연구를 통하여 빅카인즈 데이터 기반을 이용하여 정책적 방향을 연구하고자 하며,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사업이 시작된 2014년에서 부터 현재(2021.08.31.)까지 약 7년 동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마트공장과 관련된 키워드가 무엇이고, 무엇이 많이 기사화 되었고, 그 키워드와 스마트공장과 관련된 의미는 무엇이고, 더 나아가 정책적 의미는 무엇인지를 연구 하고자 한다.
The government has selected the smart factory as the next-generation national polic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s using it as a driving force for job creation and economic growth, a large amount of budget related to the smart factory is being used, and research in the policy direction studied from the academic aspect. There are many things that have been done, but through this study, we want to study the policy direction using the BigKinds data base, based on the data for about 8 years from 2014, when the smart-factory construction support project was started, to the present (2021.08.31.).
As a result, we want to study what keywords are related to smart factory, what have been widely reported, what are the meanings related to those keywords and smart-factory, and furthermore, what are the policy implications.
Author(s)
신관식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 2
Type
Dissertation
Keyword
빅카인즈 스마트공장 스마트팩토리 트렌드분석 정책적방향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272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0735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과학기술정책학과
Advisor
옥영석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2

Ⅱ. 관련연구 3
1. 이론적 배경 3
가. 스마트공장 3
나. 빅카인즈(bigkinds.or.kr) 3
2. 선행연구 5

Ⅲ.연구방법 6
1. 연구대상 6
2. 연구수행 절차 6
가. [STEP 01] 뉴스 검색·분석 7
나. [STEP 02] 검색 결과 8
다. [STEP 03] 분석 결과 및 시각화 8

Ⅳ. 연구결과 10
1. 2014년(184건)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10
가. 2014년 "스마트공장, 스마트팩토리" 관계도 분석 시각화 10
나. 2014년 "스마트공장" 키워드 트렌드 분석 시각화 11
다. 2014년 "스마트공장" 연관어 분석 시각화 12
라. 2014년 "스마트공장" 연관어 분석 가중치 및 키워드 빈도수 13
2. 2015년(1284건)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15
가. 2015년 "스마트공장" 관계도 분석 시각화 15
나. 2015년 "스마트공장" 키워드 트렌드 분석 시각화 16
다. 2015년 "스마트공장" 연관어 분석 시각화 16
라. 2015년 연관어 분석 가중치 및 키워드 빈도수 17
3. 2016년(1712건)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19
가. 2016년 "스마트공장" 관계도 분석 시각화 19
나. 2016년 "스마트공장" 키워드 트렌드 분석 시각화 19
다. 2016년 연관어 분석 시각화 20
라. 2016년 "스마트공장" 연관어 분석 가중치 및 키워드 빈도수 21
4. 2017년(3102건)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23
가. 2017년 "스마트공장" 관계도 분석 시각화 23
나. 2017년 "스마트공장" 키워드 트렌드 분석 시각화 23
다. 2017년 "스마트공장" 연관어 분석 시각화 24
라. 2017년 "스마트공장" 연관어 분석 가중치 및 키워드 빈도수 25
5. 2018년(4579건)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27
가. 2018년 "스마트공장" 관계도 분석 시각화 27
나. 2018년 "스마트공장" 키워드 트렌드 분석 시각화 27
다. 2018년 "스마트공장" 연관어 분석 시각화 28
라. 2018년 "스마트공장" 연관어 분석 가중치 및 키워드 빈도수 29
6. 2019년(6688건)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31
가. 2019년 "스마트공장" 관계도 분석 시각화 31
나. 2019년 "스마트공장" 키워드 트렌드 분석 시각화 31
다. 2019년 "스마트공장" 연관어 분석 시각화 32
라. 2019년 "스마트공장" 연관어 분석 가중치 및 키워드 빈도수 34
7. 2020년(6,469건)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36
가. 2020년 "스마트공장" 관계도 분석 시각화 36
나. 2020년 "스마트공장" 키워드 트렌드 분석 시각화 36
다. 2020년 "스마트공장" 연관어 분석 시각화 37
라. 2020년 "스마트공장" 연관어 분석 가중치 및 키워드 빈도수 39
8. 2021년(3,656건)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41
가. 2021년 "스마트공장" 관계도 분석 시각화 41
나. 2021년 "스마트공장" 키워드 트렌드 시각화 42
다. 2021년 "스마트공장" 연관어 분석 시각화 43
라. 2021년 "스마트공장" 연관어 분석 가중치 및 키워드 빈도수 44
9. 연구요약 47

Ⅴ. 결론과 시사점 49
1. 결론 49
2. 시사점 50
3. 연구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51

참고 문헌 5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과학기술정책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