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사용자 측면을 고려한 오피스 공간 디자인의 벽면녹화 활용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코로나19 이후 탄력적인 근무 방식과 원격 근무, 신기술 적용과 팀워크, 그리고 오피스 공간에 유례없는 변혁이 일어나고 있다. 업무환경 설계가 이러한 도전에 직면한 가운데, 전통적인 업무환경의 한계를 뛰어넘어 현재 업무 장소에서 맞이한 가장 어려운 문제들을 해결해내야만 한다.
원격 근무는 코로나19와 같은 특수한 시기의 업무 수요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직원들이 영원히 사무실로 복귀하지 않는다면 물리적 업무 공간이 갖는 두 가지 중요한 강점(소셜 기능, 커뮤니케이션에 따른 창의력)을 상실하게 된다. 그리고, 재택근무를 하는 직원, 특히 젊은 직원들 사이에서도 심신 건강에 문제가 생기기 쉽다. 왜냐하면 장기간 재택근무를 함으로 외로움을 느끼게 되며, 사고력과 면역체계에도 영향을 미쳐 업무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오피스 공간 생태화가 우리의 삶의 터전인 자연에 대한 인간의 관심이라면 인간적인 디자인은 인간 그 자체다. 오늘날 사람의 오피스 공간에 대한 욕구도 마찬가지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누리면서 다원적인 자기 오락성과 개별화의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사람, 공간, 환경"의 상호관계를 조화롭게 통일시켜서 완벽하고 쾌적하며 마음에 드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미래 업무공간 발전의 주요 흐름이다. 의심할 여지 없이 미래의 인간적 설계는 더욱 전면적이고 입체적인 내용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우리가 과거에 제한했던 사람과 물건의 관계인식을 뛰어넘어 시간, 공간, 생리적 감각과 심리적인 방향으로 발전할 뿐만 아니라, 현대 하이테크를 통해 가상현실, 네트워크와 같은 다양한 디지털화된 형태로 확장될 것이다. 인간적인 디자인과 친환경적인 마인드는 오피스 공간 디자인에서 충분히 에너지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미래 업무공간은 외관·내부공간·전체 설치 모두 '사람 중심'이 될 것이며, 사람과 관련된 모든 소재·기술의 적용은 첨단 과학기술과 인문(人文)의 균형 잡힌 조화로 이어질 것이다.
본 연구는 해변 도시 오피스 공간을 계획하기 위해 크게 문헌 연구를 통한 개념 정립, 오피스 환경에서의 직무 스트레스 분석, 오피스의 이론적 분석과 자연환경 요소 분석, 국내·외 오피스 공간의 사례로 나누어 벽면녹화에 대입해 분석할 것이다. 이 중 사례분석은 디자인 요소 추출, 오피스 공간 계획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1) 자료 분석
도시 오피스에서 벽면녹화를 적용한 분석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Ecotect Analys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기법으로는 설문 대상자들 벽면녹화에 적용된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문헌 분석 방법으로 대량의 이론적인 자료를 수집하였고, 분석 예증의 방법으로 당대 사무공간의 발전을 심도 있게 연구하여 사무공간의 발전 추이를 찾아냈다. 우수한 오피스 공간 실례를 분석해 현재 도시의 오피스 공간 발전을 전망했다.

2) 설문조사
설문조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도시 오피스의 벽면녹화를 각각 다른 위치에서 촬영한 도시 오피스에 대하여 한국.해외 500명을 선정하여 그들을 대상으로 직원들의 업무시의 감정과 업무환경의 관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도시의 산업 오피스 공간 환경, 오피스에 대한 현지 조사 연구를 통해 직원의 작업 방식과 오피스 공간 환경의 관계를 살펴보고, 벽면녹화를 총괄 귀납하여 오피스 공간 설계의 주요 응용 규칙 및 방법을 비교적 상세하게 조사·분석하였다.

3) 전문 이론 연구분석
식물학, 디자인미학, 경관학, 건축학, 환경심리학 등에 관한 이론 및 저서들은 벽면녹화의 사무공간 활용에 관한 이론을 비교적 포괄적으로 설명했으며, 도시의 오피스 공간 분석, 벽면녹화를 활용한 공간 설치를 분류 분석하여 사용자의 가치취향, 자연 콤플렉스를 요약하고 있다. 이론적 관점에서 식물과 건축 업무 공간의 융합을 실현하여 사람의 심신 건강 발전에 유익한 오피스 환경을 조성하고 벽면녹화를 위한 응용 규율 및 책략을 부각시켰다.
본 연구는 이론을 예증하는 방법을 결합하여 식물이 어떻게 벽면녹화된 업무 공간 설계에서 응용할 수 있는지를 귀납하고 논하여 설계자의 인간적인 배려를 구현하고자 했다. 그리고 실례를 통해 디자인 이념, 표현 기법 및 관련 학문 지식이 설계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살펴보아 업무 공간 환경의 문제점을 찾았을 때 문제를 비교 분석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번 연구는 각종 오피스과 구조물의 설계 시 벽면을 녹화해 기후와 생태서비스 기능을 개선하고, 도시녹화 공간을 확대하여, 도시경관 미화를 가져오기 위한 생태계 조성 활동에 대한 것이다. 특히 도시에서의 친환경 오피스 공간을 바다의 아름다운 경관을 업무 공간으로 수납하고 벽면녹화를 결합한다면 직원과 고객 모두에게 매력적일 것이다.
본 연구는 도시 오피스의 이론적 분석과 자연환경 요소 분석, 국내·외 오피스 공간의 사례로 나누어 벽면녹화에 대입해 분석할 것이다. 이 중 사례분석은 디자인 요소 추출, 오피스 공간 계획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이론을 예증하는 방법을 결합하여 식물이 어떻게 벽면 녹화된 업무 공간 설계에서 응용할 수 있는지를 귀납하고 논하여 설계자의 인간적인 배려를 구현하고자 했다. 그리고 실례를 통해 디자인 이념, 표현 기법 및 관련 학문 지식이 설계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살펴보아 업무 공간 환경의 문제점을 찾았을 때 문제를 비교 분석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했다.
벽면녹화 오피스 공간은 정보화시대에 생겨난 것으로, 도시화가 발전한 도시의 산물이 되었다. 이에 따라 조경을 이루는 식물의 생명 특성과 그에 따른 신체의 심신 건강에 대한 연구, 실체 현대 오피스 공간에서의 디자인의 발전에 대한 관심은 점점 커질 것이다.
이번 연구는 각종 건축물과 구조물의 설계시 벽면을 녹화해 기후와 생태서비스 기능을 개선하고, 도시녹화 공간을 확대하여, 도시 환경 미화를 가져오기 위한 생태계 조성 활동에 대한 것이다. 인간과 자연, 역사와 현대를 완벽하게 조화시키고 생태의 다양성을 복원하여 아름다우면서 생동감 있는 공간을 제시하고자 한다.
Author(s)
ZHANG WU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274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0689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Advisor
김철수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의 방법 6
4. 선행 연구 8
5. 흐름도 14

Ⅱ. 이론적 배경 15
1. 오피스 공간 이론적 고찰 15
1) 오피스 공간의 현황 16
2) 문제점 19
(1) 직무 스트레스 19
(2) 오피스 실내환경 23
(3) 도시 건축 환경 26
3)오피스 공간의 종류 26
4)디자인 연구 방향 31
2. 벽면녹화 이론적 고찰 및 활성화 요소 분석 33
1)벽면녹화 종류 33
2)벽면녹화 기능성 34
(1) 식물의 실내 공기정화 34
(2) 식물 흡수에 의한 실내 공기정화 36
(3) 식물 방출물질 37
3)벽면녹화의 합리적 공간 배치 38
4)현장 조사 및 배치의 불합리한 문제 39
3. 연구모형 45

Ⅲ. 이론모형과 연구제기 63
1. Healing Offices 63
2. 벽면녹화를 활용한 오피스 공간 영향요인분석 69
1)바우하우스 이념을 통한 분석 69
(1) EFD(친환경 디자인 Eco Friendly Design) 70
(2) HCD(건강지향 디자인, Health Care Design) 71
(3) PRD(실용적인 디자인, practical Design) 72
(4) AAD (예술, 미학적인 디자인, Art & Aesthetic Design) 72
2)사용자 정서적 욕구 74
3)친환경 건물의 외립면 76
4)환경심리학 요소 77
5)기술적 요소 82
6)색채 요소 87
7)공간 레이아웃 요소 90
3. 오피스가 사용에게 미치는 영향 96
4. 친환경 오피스 평가 기준 98
1)영국 BREEAM 98
2)미국 LEED 100
3)한국 100
5. 소결 101

Ⅳ. 오피스 공간 디자인 사용자의 벽면녹화에 대한 반응조사 102
1. 한국 해외 사례분석 102
1)해외 사례분석 103
2)한국 사례분석 120
2. 오피스 공간 디자인 사용자의 벽면녹화에 대한 반응 조사 144
3. 종합 분석 160

Ⅴ. 벽면녹화를 활용한 오피스 공간의 분석 결과 162
1. SWOT 분석 결과 162
2. 영향 분석 결과 165
3. 디자인 계획 및 방안 168
4. 기대효과 176

Ⅵ. 결론 182
참고문헌 188
영문초록 197
(감사의 말씀) 200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