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상인의식의 실태와 상인단체몰입에 대한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Reality and the Effect on the Commitment to the Merchant Association of Merchant Consciousness: An Exploratory Empirical Study on Small Merchants in Busan:
Abstract
본 논문은 부산지역 소상인의 의식실태를 조사분석하고 소상인의 의식이 상인단체에 대한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실증연구한 논문이다.
본 연구는 개념적 연구방법과 경험적 연구방법을 병행하되, 주로 경험적인 연구를 통해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경험적 연구는 부산 소상인 444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연구이다.
본 연구의 실증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인의식 실태를 분석한 결과 의식별 평균치를 전체적으로 보면 단체(필요, 대외, 대내)의식, 정부편향의식, 정의공정의식, 계급(정체, 대립)의식, 장기지향의식, 정보필요의식은 높았으나 경쟁불호의식, 집단주의의식, 권위주의의식은 낮았으며, 단체몰입은 높은 편이었다. 의식별 평균치를 인구통계변수별 유의미한 차이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성별, 점포소유형태, 가맹점여부에서는 차이가 없는 편이었지만, 연령, 사업기간, 업종, 종사자수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단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의식에 대한 검증결과로서 단체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의식은 단체필요의식, 단체대외의식, 정치필요의식, 계급정체의식, 계급대립의식, 집단주의의식, 내부귀인의식이었다.
이러한 실증연구결과가 갖는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에의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thesis is a paper that exploratively investigated and analysed small merchants’ reality of consciousness and the effect of small merchants’ consciousness on merchants’ association in Busan.
This study attempte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mainly through empirical research, while combining conceptual research methods and empirical research methods. Empirical study is to analysis of survey of 444 small merchants in Busan.
The summary of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ality of merchant consciousness, the mean of each consciousness was high, such as consciousness of association(need, external, internal), consciousness of government’ bias, consciousness of justice and fair, consciousness of class(identity, confrontation), consciousness of long-term orientation, and consciousness of information need, However, negative consciousness of competition, consciousness of collectivism, consciousness of authoritarianism were low. And commitment to association was high.
As a result of examining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mean of consciousness by demographic variable, there were partial differences in age, business period, industry, and number of employee,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gender, store ownership form, and merchant status.
Second, as a result of testing hypotheses of the consciousness affecting commitment to the association, the consciousness that has a positive(+) effect on commitment to the association significantly was consciousness of association(necessity and external), consciousness of necessity of merchants’ political activity, consciousness of class(identity, confrontation), consciousness of collectivism, and consciousness of internal attribution.
Lastly the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of empirical research, limitations of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Author(s)
이정식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상인 의식 조직몰입 상인단체 협회 부산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278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6632
Alternative Author(s)
Lee Jeong Sik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경영컨설팅협동과정
Advisor
윤영삼
Table Of Contents
제1장 머리말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1. 연구의 범위 3
2. 연구의 방법 4
제3절 연구의 체계 4

제2장 이론적 배경 6
제1절 의식 6
제2절 상인의식 7
제3절 단체몰입 16

제3장 소상인의 실태와 동향: 현장적 배경 18
제1절 전국 상인의 실태와 동향 19
1. 전국 소상인의 실태 20
2. 전국 소상인의 동향 23
제2절 부산지역 소상인의 실태와 동향 32
1. 부산지역 소상인의 실태 32
2. 부산지역 소상인의 동향 46
3. 부산시의 소상인정책 49
4. 부산지역 상인단체의 동향 50

제4장 부산지역 소상인의 의식 실태에 대한 실증연구 56
제1절 조사방법론 56
제2절 부산지역 소상인의 의식에 대한 설문조사결과 58
제3절 소결 73


제5장 상인단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상인의식에 관한 실증연구 76
제1절 실증연구모형 및 가설 76
1. 실증연구모형 76
2. 실증연구가설 76
제2절 조사방법론 77
제3절 실증연구가설 검증결과 81
1. 기초통계분석결과 82
2. 가설검증결과 86
제4절 해석과 토의 86

제6장 맺음말 88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88
제2절 시사점 89
1. 상인단체리더에 대한 시사점 89
2. 정부(중앙정부/지방정부)에 대한 시사점 90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의 방향 92

참고문헌 94
[부록1] 설문조사문항 98
[부록2] 설문지 101
[부록3] 소상인관련 정부정책 및 105
감사의 글 116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경영컨설팅협동과정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