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색소 병변 치료를 위한 레이저 유도 광 파쇄 치료법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Laser-induced optical breakdown effect for melasma treatment
Abstract
기미는 피부의 색소침착과잉으로 인한 색소병변으로 형성된다. 기미는 얼굴부위, 목과 같은 주로 노출 정도가 높은 신체부위에서 발생하지만 신체의 피부의 모든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주로 태양광의 자외선 노출, 임신, 호르몬 불균형, 유전적 요인 등이 발병원인으로 꼽힌다. 인종과 문화권에 관계없이 발생하는 높은 치료수요에 따라 현재까지 기미를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최근 짧은 펄스 폭의 레이저를 이용한 치료가 기존 치료법보다 빠른 회복 시간, 짧은 시술 시간 등을 이점으로 주된 치료법으로 자리잡고 있다. 피코 초 (picosecond) 의 짧은 펄스 폭을 이용한 1064 nm 파장 레이저는 고온 고압의 광자를 표피에 상처 없이 표피 하부 및 진피 층의 멜라닌을 파괴하고 이온화를 통한 레이저유도 광 파쇄 (laser-induced optical breakdown)를 일으켜 콜라겐 재생성을 유도한다. 레이저 유도 광 파쇄를 이용한 기미 치료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기미의 유형 및 피부 색에 따른 광학적 특성에 따른 치료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레이저유도 광 파쇄 효과를 조건 별로 정량화하고 치료 효과를 조사하였다. 피부 조직 모사 모형을 제작하여 굴절 집속 렌즈 (micro-lens arrays) 및 회절 광학 렌즈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을 이용한 레이저 출력과 초점 깊이 별 레이저 유도 광 파쇄 효과를 시각화 및 정량화하였다. 또한 피부색이 다른 생체 외 조직 실험을 통해 피부 색의 광학적 특성에 따른 레이저 유도 광 파쇄 효과의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짧은 펄스 폭의 낮은 출력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굴절 집속 렌즈와 회절 광학 렌즈의 차이를 확인하고 피부 색에 따른 치료조건을 정량화하여 현 치료법의 임상적 치료조건이 될 가능성이 있다. 나아가 임상 치료에 적용될 수 있는 명확한 조건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Author(s)
김현수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279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4996
Alternative Author(s)
Hyeonsoo Kim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4차산업융합바이오닉스공학과
Advisor
강현욱
Table Of Contents
1. Introduction 1
1.1. Melasma 1
1.2. Overview of laser-induced optical breakdown 4
2. Laser-induced optical breakdown for melasma treatment 7
2.1. Purpose 7
2.2. Materials and Methods 8
2.2.1. Dimming paper examination 8
2.2.2. Pigmented skin tissue-mimicking phantom fabrication 9
2.2.3. Ex vivo skin tissue test 10
2.2.4. Histological analysis 11
2.2.5. Statistical analysis 11
2.3. Results 12
2.3.1. Spatial distribution of micro-beam spot with dimming paper 12
2.3.2. Pigmented skin mimicking phantom evaluation after laser irradiation 15
2.3.3. Histological evaluation of laser-treated tissue 20
2.4. Discussion 25
3. Dependence of laser-induced optical breakdown effects on skin type 31
3.1. Purpose 31
3.2. Materials and methods 31
3.2.1. CIE lab color test for ex vivo skin tissue 31
3.2.2. Skin surface after picosecond laser irradiation 32
3.2.3. Histological analysis 34
3.2.4. Statistical analysis 34
3.3. Results 35
3.3.1. Evaluation of laser-induced responses of skin tissue 35
3.3.2. Histological evaluation of laser-treated tissue 38
3.4. Discussion 48
4. Conclusion 50
5. References 5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4차산업융합바이오닉스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