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디자인 방법론에 기초한 해양공공디자인의 실행모델에 관한 연구
- Abstract
- 도시개발이라는 패러다임에서부터 생활의 공간이라는 도시의 공간을 다시 생각하면서 공공디자인에 대한 관심은 많아졌다. 공공디자인이라는 단어의 원천은 산업화를 거치면서 성장한 사적인 부분의 디자인에 비해 간과된 공공영역에서 디자인의 관심을 가진 것에서 시작되었다. 현재는 정부와 지자체가 중심이 된 다양한 공공디자인 정책이 입안되고 있다. 공공디자인 시행이 지속가능한 디자인이 실현되고 지역민들 생활에 실질적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인 업무과정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체계적 참여 및 진행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고, 주로 디자인의 결과물이나 스타일링에 가까운 정책의 결과에만 초점을 맞춘다고 하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2000년 초반에는 디자인이 가진 공공성에 관한 토의가 시작되면서 공공영역에서 주체가 시장이나 국가에 한정되지 않고, 주민의 역할에 의해 해당 영역도 확장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한 국가의 근대화는 정부가 주도하는 것으로 주로 생각되었기 때문에 큰 방향성을 기관이 운영해야 한다는 생각이 남아있고, 주요한 실행단계에서도 주민의 참여는 부족하다. 이렇게 공공디자인의 목표인 공공성의 회복을 위해서라면 주민에 대한 참여와 이해가 강조되어야 할 것이나 정책의 입안 단계에서부터 정책의 주체로써 주민의 접근은 어려운 부분이 많다고 할 수 있다. 2000년 초반 단순히 물리적인 환경을 개선하고자 했던 것과는 달리 현재는 정책의 전 과정에서 주민참여가 강조되는 부분이 있고, 정책의 확대에도 많은 시민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해결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그리고 특히 해외에서의 디자인 인식은 주민들을 위한 공공서비스의 정책제공 기능과 함께 거버넌스의 소통과 혁신을 위한 디자인이 많이 활용되고 있고 연구 또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선행 연구된 이론들을 보면 시민참여의식은 민주적인 참여형태를 통해서 보다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고 주민 스스로가 지내는 환경을 만들고자 하는 역량의 강화도 중요하다.
공공디자인의 시작은 디자인을 안에서부터 밖으로 그 대상지역에 대한 장소를 변경하면서 공공이라는 개념을 장소의 개념으로 봤고, 공공영역에 대한 인식을 보는 새로운 디자인의 영역이 생겨나왔다. 이런 두 가지 영역 안에서 존재하고 있는 공공디자인을 전체로 묶을 수 있는 사회학, 철학, 예술학, 행정학에서 공통적으로 회자되는 공공성의 실제 조건인 공론장이라는 범위로 좁혀가면서 공공디자인에서 공공성이 가진 실현가능성을 연구했다. 이런 공론장 개념을 중심으로 볼 때 디자인은 공공성이라고 하는 공통관심에서 많은 사람들이 자율적인 참여와 소통의 방식을 만들었을 때 완성된다. 여기에서 주민의 조건인 행위와 사유를 강조한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사상에 의해 공공디자인에서 만들어진 참여자들의 의견과 부르주아적 문예 공론장에서 만들어졌던 자율성 있는 공론장을 중요하게 생각한 위르겐 하버마스(Jurgen Habermas)의 개념으로 만들어진 결론과 여론이 다양한 영역에서 공공성이라는 개념을 실체화시키고 있다.
공공디자인을 향해 형성한 시민들의 공론장은 디자인 결과물의 설계부터 영향을 주며, 정부와 여러 이해관계에 있는 주민들이 참여하는 이런 방법으로 계속되는 여론을 만들어 간다. 나아가 공공디자인은 공론장 자체를 공공디자인의 결과물로 만들기도 한다. 여기서 공공디자인은 공론장을 만들게 하는 하나의 주요 요소이고, 그 결과물로도 기능한다. 매체의 변화에 따라 공공디자인에서 형성되는 공론장의 형태나 형식도 다양한 변화를 가져왔다. 더 이상 공공디자인은 길거리나 공원 등 공적인 공간에만 존재하지 않고, 다양한 영상 매체 및 온라인과 같은 가상공간까지 그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은 이런 시대의 흐름에 의해 그 영역을 넓혀 가고 있는 공공디자인에서 어떻게 디자인이 공공성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하여 집중하여 공론장의 개념을 통해 공공디자인을 진단하고, 이에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의 수렴과 확산을 반복하는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부산의 대표적인 원도심인 영도구 동삼동지역의 공, 폐가의 활용에 대한 공공디자인을 산업미술의 관점에서 미학적 가치로 바라보던 전통적인 기준이 아닌 하버마스의 공론장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광범위하고 애매한 공공디자인의 실행모델을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에 기초하여 공공디자인의 새로운 가치로 발견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주민 참여를 통한 직접적인 디자인 역량강화와 함께 실질적인 디자인 결과물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에 있다. 그리고 특히, 해양공공디자인이라고 하는 해양도시공간에서의 정부의 정책수립과 운영을 위한 시민들의 참여방식에 대한 이해와 활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그러나 본 연구가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공공디자인 실행모델에 대한 검토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또, 이후 후속연구를 위한 다양한 시도를 통해 많은 주민들이 보다 편안하고 효율적인 전달과 참여방식에 대한 현실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Author(s)
- 김동호
- Issued Date
- 2022
- Awarded Date
- 2022.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283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5639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 Advisor
- 조정형
-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3. 연구흐름도 4
제 2 장. 이론적 배경 5
1. 서비스디자인 5
가. 서비스디자인의 개념 5
나. 서비스디자인 방법론 14
다. 서비스디자인의 특징과 분류 22
2. 공공디자인 30
가. 공공디자인의 개념 30
나. 공공디자인의 역사 33
다. 공공디자인의 분류 38
라. 공공디자인의 특성 44
3. 해양디자인과 공공성 48
가. 공공성의 개념 48
나. 공공성에 대한 사회학적 개념화 54
다. 해양디자인과 공공성의 실행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56
제 3 장. 연구방법 및 분석 59
1. 연구대상지 개요 60
가. 분야이해 62
나. 문제파악 64
다. 문제해결 66
2. 추진배경 67
가. 추진경과 68
3. 서비스디자인 연구방법 69
가. 이해하기 단계 69
나. 발견하기 단계 70
다. 정의하기 단계 72
라. 발전하기 단계 76
마. 전달하기 단계 78
제 4 장. 연구결과 79
1. 네이밍 연구결과 79
2. 로고타입 연구결과 80
제 5 장. 결론 84
1. 요약 및 논의 84
2. 시사점 87
3.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의 과제 88
영문요약 89
참고문헌 93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