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자기노출 정도가 대인관계 친밀감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Abstract
- 본 연구는 SNS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자기 노출 정도와 대인관계 만족도와 친밀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자기 노출 정도가 대인관계 만족도와 친밀감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것을 통해 자기 노출과 대인관계 만족도와 친밀감 간의 상관관계를 보여 주는 객관적이고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SNS 이용자가 자기 노출 정도가 대인관계 만족도와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 문제를 첫째는 대인관계 만족도와 자기 노출 정도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는 자기 노출 정도와 대인관계 친밀감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SNS 이용자의 자기 노출 정도가 대인관계 만족도에 정(+) 영향을 미친 것이다. 넷째, SNS 이용자의 자기 노출 정도가 친밀감에 정(+) 영향을 미친 것이다. 와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국 SNS 이용한 남자 103명(41%) 여자 148(59%) 총 251명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Jourard(1964)가 개발한 자기개방 질문지(JSDQ: Jourard Self-Disclosure Questionnaire)를 번안하여 수정 보완 후 사용한 한병현(1996)의 자기 노출 검사와 이형득과 문선모(1980)가 Schlein과 Guerney의 "Relationship Change Scale"를 실정에 맞게 번안한 척도를 박성배(2004)가 재인용하였던 대인관계 검사 도구, 그리고 톨스테드와 스톡스(Tolstedt & Stokes, 1983)가 제시한 항목들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대인관계 친밀감 측정 도구를 사용한다.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이용자의 자기 노출 정도와 대인관계 만족도, 친밀감 간의 상관관계는 어느 정도 양의 관계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자기 노출한 정도가 다른 이용자들과 소통하고 관계를 맺으며 대인관계 만족도과 친밀감을 얻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는, SNS 이용자의 자기 노출 하위 요인의 노출 정도는 대인관계 만족도과 친밀감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대인관계 만족도에 대해 이성/교우 문제, 성격/가족 문제가 영향을 주는 것이다. 친밀감에 대해 영향을 받은 자기 노출 하위 영역을 좀 다른데 여가/취미 문제, 그리고 이성/교우 문제, 성격/갈등 문제가 정(+) 영향을 주는 것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자기 노출 정도와 대인관계 만족도과 친밀감은 통계적으로 일 정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고, 자기 노출의 정도는 대인관계 만족도과 친밀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SNS 이용자들이 타인에게 적절히 자기 노출을 하면 대인관계에서 만족도와 친밀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 Author(s)
- WANG YAO
- Issued Date
- 2022
- Awarded Date
- 2022.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288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7012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Advisor
- 남인용
-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구성 4
II. 이론적 배경 5
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론적 고찰 5
가. SNS 개념 5
나. SNS 특징 및 이용 동기 6
2. 자기노출의 이론적 고찰 10
3. 대인관계의 이론적 고찰 16
가. 대인관계의 개념 16
나. 대인관계의 중요성 17
다. 온라인 대인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18
4. 친밀감의 이론적 고찰 21
III. 연구의 설계 및 연구방법 24
1. 연구모형 24
2. 연구문제 25
3. 연구방법 27
1). 측정척도 27
가. 자기노출 척도 27
나. 대인관계 만족도 27
다. 친밀감 28
2). 분석방법 28
IV. 연구결과 30
1. 인구통계학적특성 30
2. 측정 도구 신뢰도 측정 31
3. 상관관계 검증 32
4. 연구가설 검증 36
5. 검증 결과 정리 41
V. 결론 및 논의 43
1. 결론과 논의 43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46
참고문헌 47
부록 5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