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A Comparison of Cohesion and Cohesive Devices among CSAT English Question Groups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수능 영어 독해 문항 유형간 응집성과 응집장치에 관한 비교 연구
Abstract
본 연구는 문어 담화에서의 응집성(coherence)과 응집장치(cohesive devices)를 의미 화용적 기능(semantic-pragmatic function)으로 분석한다. 응집장치가 문맥 추론 과정에 기인한다는 점에서 이것의 작용을 이해하는 것은 텍스트 이해의 주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기존의 응집성 연구가 코메트릭스(Coh-Metrix)를 기반으로 한 통계 분석에 그치고 있어 그 수치가 텍스트의 어떤 특징을 반영하는지는 잘 드러나 있지 않다. 특히 수능 독해의 응집 연구는 통사적 구조나 어휘 수준, 독해 난이도를 중심으로 해 응집장치의 화용적 기능은 간과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코메트릭스와 함께 텍스트 분석으로 수능 지문에 나타난 응집장치의 의미 화용적 기능을 살펴보고 연구의 다양성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분석 자료는 2011에서 2020학년도 수능 영어 독해 지문으로 이를 문항 유형별로 추론, 간접 쓰기, 세부사항으로 나누어 코퍼스를 구축해 코메트릭스와 용례색인 프로그램으로 문형 간의 응집성과 응집장치를 비교했다. 분석 결과 10년간 수능 독해 문항 수는 줄어들었지만, 단어와 문장 수가 증가해 단락의 길이가 길어진 것을 관찰하였다. 반면 어휘의 다양성은 기존의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형 간 비교에서는 간접 쓰기 유형의 단락이 가장 길었다. 추론 문항은 신정보의 등장이 많아 어휘 다양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칭대명사의 사용으로 지문의 서사성이 높았고 외조응(exophora)의 기능이 많았다. 정관사 또한 전방 조응(anaphora)보다 외조응의 기능이 많았다. 간접 쓰기 유형은 3인칭 복수 대명사의 사용으로 내조응이 높았고 대명사의 정보 접근성(accessibility)으로 일관된 주제성(topicality)을 유지해 근거리 응집(local cohesion)을 높였다. 비인칭 대명사는 후방 조응(cataphora)으로 내조응 기능을 했고 지시대명사 this는 필자의 거리감(proximity)을 나타내 메타담화 기능을 했다. 대조 접속사의 주제 단절(topic continuity) 특징과 함께 완료상(perfect aspect)의 발생이 높아 원거리 응집(global cohesion)의 이해를 요구했다. 세부사항 유형은 어휘 응집(lexical cohesion)과 논항 반복(argument overlap)으로 근거리 응집이 높았다. 특히 서사 구조가 어휘 반복과 시간 연결(temporal) 접속사와 부사의 발생을 높였다. 이와 관련해 비교(comparative) 표현의 사용도 많았는데, that의 사용으로 비교 구문의 암시적 의미 연결을 방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능 문항 유형 간의 응집성과 응집장치의 차이를 확인하고 문형 별 지문 이해에 다른 정도의 응집성이 요구되는 것을 관찰했다. 이에 단어와 문법에만 의존하지 않고 응집장치를 통한 보다 넓은 문맥 이해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Author(s)
정숙현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8
Type
Dissertation
Keyword
cohesion cohesive devices corpus Coh-Metrix CSAT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30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39457
Alternative Author(s)
Sookhyun Jung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Advisor
한지원
Table Of Contents
I. Introduction 1
II. Literature Review 6
2.1 Textuality 6
2.1.1 Coherence 6
2.1.2 Cohesion 8
2.1.3 Coherence Relations 10
2.2 Halliday and Hasan’s Cohesion (1976) 13
2.2.1 Text, Texture, and Tie 13
2.2.2 Cohesion 15
2.2.3 Classification 16
2.2.3.1 Reference 16
2.2.3.2 Substitution 17
2.2.3.3 Ellipsis 19
2.2.3.4 Conjunction 23
2.2.3.5 Lexical Cohesion 24
2.3 Empirical Studies 25
2.3.1 Comprehension and Cohesion 26
2.3.2 Text and Cohesion 28
2.3.3 Empirical Studies in the Korean Context 29
2.4 Theoretical Framework 32
2.4.1 Categorization of Reference 33
2.4.2 Research Questions 35
III. Methodology 37
3.1 Corpus 37
3.1.1 Materials 37
3.1.2 Text Screening and Classification 39
3.2 Instruments 41
3.2.1 Coh-Metrix 41
3.2.2 Concordance Program 44
3.3 Data Analysis and Procedures 46
3.3.1 Statistics 46
3.3.2 Text Analysis 46
IV. Results and Discussion 48
4.1 Descriptive Statistics 48
4.1.1 Word and Sentence Count 48
4.1.2 Type-Token Ratio 53
4.1.3 Word Frequency 57
4.2 Inference Questions 61
4.2.1 Lexical Diversity 61
4.2.2 LSA Given-new Information 66
4.2.3 Interpersonality 70
4.2.4 Definite Article 74
4.2.4.1 Exophora 74
4.2.4.2 Endophora 78
4.3 Indirect Writing Questions 81
4.3.1 Cataphora 81
4.3.2 Topicality 84
4.3.3 Proximal Reference 88
4.3.3.1 Anaphora 88
4.3.3.2 Proximity 91
4.3.4 Connectivity 94
4.3.4.1 Frequency 94
4.3.4.2 Counter Sequence 98
4.4 Detailed Information Questions 103
4.4.1 Reiteration 103
4.4.2 Deictic Comparative 106
4.4.3 Temporal Connectives 109
V. Conclusion 114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