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어선의 충돌사고 발생시의 항법해석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In recent collision accidents between sailing fishing vessels and fishing vessels in operation and casualtie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so it is urgent to find out the root cause and prepare countermeasures. When considering whether the cause of the collision is the cause of the collision on the one side of the fishing vessel in the collision marine accident, it is necessary to clarify whether the fishing vessel is a restricted control vessel engaged in fishing operation or a power vessel in navigation or the status of non-to impede vessels so that fishing vessels engaged in fishing in narrow channel and traffic separation schemes do not impede the passage of vessels passing through these waters. Unlike merchant vessels, which safely transport cargo from loading to unloading sites, fishing vessels maintain a constant course and speed because fishing takes priority over sailing. The status of the vessel is changed from a powered vessel in navigating to a vessel with restricted control by changing puts you in a situation that confuses you and puts you in danger.
The International Maritime Collision Prevention Rules, the Maritime Safety Act, and the Act on Entry and Departure of Ships, etc. do not stipulate all navigation laws related to fishing vessels like commercial vesse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navigation regulations more clearly.
Author(s)
최원삼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24308
http://pknu.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7252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글로벌수산대학원
Department
글로벌수산대학원 어업생산학과
Advisor
임석원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1. 연구의 목적 1
1.2. 연구의 선행연구 및 방법 3
1.2.1. 선행연구 검토 3
1.2.2. 방법 4
Ⅱ. 어선의 항법상 지위 5
2.1. 해사안전법 제76조(선박 사이의 책무) 5
2.2. 일반 동력선과 동일한 항법상 지위 6
2.2.1. 동해해심 제2019-006호 [어선 제5대성호 ‧ 어선 강전호 충돌사건] 7
2.3. 조종제한선으로서의 어선의 항법상 지위 8
2.3.1. 조종제한선의 개념 8
2.3.2. 어로작업 중인 경우의 항법상 지위 9
2.3.2.1. 목포해심 제2018-035호 [어선 광명호·어선 남양호 충돌사건] 11
2.3.2.2. 부산해심 제2014-059호 [화물선 제5쌍용호․어선 제303삼양호 충돌사건] 13
2.3.3. 조종불능선인 경우의 항법상 지위 14
2.3.3.1. 목포해심 제2018-030호 [어선 제508재한호․어선 제702명원호 충돌사건] 15
2.3.3.2. 부산해심 제2017-024호 [어선 제5동해호․어선 제2014평산호 충돌사건] 16
2.3.4. 특별항법상의 지위 17
2.3.4.1. 인천해심 제2018-008호 [화물선 케이에스 헤르메스호․어선 우성호 충돌사건] 18
2.4. 조업 중인 어선과 항해 중인 어선의 구분 21
2.4.1. 구분의 필요성 21
2.4.2. 조업 중인 어선 22
2.4.2.1. 등화 및 형상물의 게시에 의한 구분 22
2.4.2.1.1. 부산해심 제2014-072호 [화물선 스카이 지니호․어선 제102신광호 충돌사건] 25
2.4.2.2. 경계 및 경험에 의한 구분 28
2.5. 항해 중인 어선 29
2.5.1. 인천해심 제2014-011호 [어선 길성1호․무등록 레저보트 충돌사건 30
Ⅲ. 어선의 항법해석과 안전항해를 위한 제언 31
3.1. 해양사고 재결서 검토에 의한 논의 31
3.1.1. 교육제도의 개선 31
3.1.2. 당직자의 자세 32
3.1.3. 어선의 회피 동작 33
3.1.4. 조업 중인 어선의 구별화 34
3.2. 어선의 항법해석에 관한 제언 35
3.2.1. 어선의 독자적인 항법입법 35
3.2.2. 선원의 상무개념 명확 36
Ⅳ. 결론 38
참고문헌 4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글로벌수산대학원 > 어업생산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